- 코로나19 여파로 공급 감소에 따른 물류비 상승은 연말까지 유지될 전망 -
중동부유럽의 물류허브 빈

자료: 빈 공항공단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엄청난 충격으로 휘청거렸던 글로벌 경제가 회복세에 접어들고 백신 보급의 영향으로 세계 물동량이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한 물류 공급 차질로 인해 수출 기업들의 어려움은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동서 유럽을 연결하는 교통의 중심지, 동유럽의 관문으로서의 물류허브 오스트리아 빈의 위상은 이미 잘 알려진 바, 이 곳의 최근 물류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빈 공항공단(Flughafen Wien AG)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4월 기준 한국발 빈 도착 항공 수출물량은 전년 대비 16% 증가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발병 이전인 2019년 대비 49% 증가한 수치로 위기 상황에 오히려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중동부 유럽으로의 국내 수출기업들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현지 물류 상황을 전하고자 이곳의 물류기업 H사 및 빈 공항공단(Flughafen Wien AG) 관계자와 인터뷰 시간을 가졌다.
빈 국제공항 전경
자료: 빈 공항공단
물류허브 빈의 스펙이 궁금합니다. 구체적인 인프라 수준은 어떠한가요?
더불어 빈 국제공항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현재는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다소 주춤한 상태이기는 하나, 74개의 항공사가 200여개의 목적지를 취항하는 조건을 가지고, 트럭킹(trucking)을 바로 연결하여 중동부 유럽의 주요 고객들에게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빈 도착의 화물 중 상당수는 오스트리아 내 수송보다 인근국가로의 수송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빈에는 한국-중동부유럽 간 교역 물량을 취급하는 다양한 물류 업체들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황을 간단히 소개해주실 수 있을까요?
빈 국제공항 화물센터

자료: 빈 공항공단
코로나 이후에 달라진 물류환경이나 동향이 있다면 공유 부탁 드립니다.
꾸준한 비중을 차지하는 대기업 물량 외에 코로나19 이후 눈에 띄는 물동량을 차지하는 것은 마스크를 포함하는 방역관련 제품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요. 코로나19가 발병한 전년의 2, 3분기만 해도 유럽의 방역강화정책에 따라 유럽 역내 긴급 수요가 발생, 대량 즉시공급이 가능했던 중국으로부터 대량의 마스크가 긴급물량으로 수입되면서 국내 기업들이 한-오 항공 수송편을 찾는 일이 힘들어지기도 했었습니다. 상당한 물류비 인상분까지도 수용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는데요, 전년의 마스크 수송 물량을 현재는 중국 및 한국산 진단키트가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팬데믹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빈 물류 현장은 위기에 강하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고 전해 들었습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빈 공항에서는 현재 한국 국적기의 경우는 아닙니다만, 타 항공사의 경우 여객기를 화물기 전세기로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수입 및 수출 화물의 세관 포함 24시간 상시 운영체제를 갖추고 있어 동유럽으로의 신속한 트럭킹(trucking)이 가능합니다. 또한 각기 다른 온도를 핸들링할 수 있는 전문적인 시설과 인력을 갖춘 의약품 전문 센터가 2018년 12월 오픈, 운영되고 있어 코로나 이후 수요가 급증한 의약품 수송에 최적화된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상황입니다.
빈 국제공항 의약품센터
자료: 빈 공항공단
오스트리아, 동유럽 물류 핸들링 시 애로 및 제한사항이 있으시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인 유의사항을 보자면 빈 공항공단 핸들링 비용이 타 유럽 국가에 비해 높다는 점을 들 수 있겠으나, 통관 부분에서는 큰 문제 없이 수월하게 진행되는 상황입니다. 다만 세관의 무작위 개봉 검색이 이전보다 더 빈번해졌다는 점은 지적할 수 있겠고, 방역제품 등 통관에 있어서의 CE 인증 역시 실물 표기 여부가 엄격하게 검수되고 있습니다.
향후 오스트리아 지역 관련 물류시장을 어떻게 예상하시는지요?
한국국적사인 대한항공, 아시아나는 현재 빈 직항 화물기를 총 주간 18회 정도를 중단없이 운항하고 있으며, 코로나로 인한 여객기 공급감소에도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을 지원하여, 국내물류 흐름 및 오스트리아 시장내에도 많은 기여를 하였습니다. 덕분에 현지 한국계 물류대리점, 고객사들도 안정적인 루트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이러한 항공사의 지속적인 공급 유지가 국내기업들의 수출, 수입 활로를 개척하는데 기반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KOTRA 빈 무역관은 공동물류센터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해당 비즈니스/제도 활성화 방안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지요? 건의 사항이 있으시다면 말씀 부탁 드립니다.
시사점
자료원: 물류대리점 H사/빈 공항공단(Flughafen Wien AG) 관계자 인터뷰, 빈 공항공단, KOTRA 빈 무역관 자체조사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