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네이버 뉴스 댓글 운영 여부도 언론사 선택… 누리꾼들 "여론 조작하면 어쩌나" 우려

글로벌이코노믹

네이버 뉴스 댓글 운영 여부도 언론사 선택… 누리꾼들 "여론 조작하면 어쩌나" 우려

이미지 확대보기

네이버가 뉴스 댓글 정렬기준을 언론사가 직접 정하도록 방침을 바꾼다. 일각에서는 이를 통해 언론사가 여론조작을 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한다.

네이버는 22일부터 네이버 뉴스 서비스 댓글 영역이 해당 언론사가 결정한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밝혔다. 지난 5월 진행한 ‘네이버 뉴스 및 댓글 개선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내용의 조치다.

기사에 대한 댓글 운영 여부, 정렬 기준 등은 이제 모두 해당 언론사가 결정하게 된다. 댓글 정렬 기준의 경우 △최신 순 △순공감 순 △과거 순 △공감 비율 순 중 선택할 수 있다.

편집권과 댓글 정책이 언론사에 넘어가자 일각에서는 언론사가 임의로 여론조작을 할 수 있게 됐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동시에 네이버가 뉴스 유통 창구로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2k*****는 “정치적 편향성으로 여론을 조작해 온 포털 '다음'에 이어, 이제 '네이버'까지"뉴스 댓글 정렬기준을 언론사가 결정케 하겠다"고 한다”면서 여론을 호도하고 각색할 수 있다고 비난했다. ha*****는 “언론사에 떠넘기고 자기들(네이버)은 나몰라라 하겠다는 거 아닌가?”라고 말했다.

네이버 미디어&지식정보서포트 유봉석 리더는 "뉴스 댓글 영역은 해당 기사를 보도한 언론사와 독자들 간의 소통 창구인 점을 감안해 댓글 허용여부나 댓글 정렬방식을 해당 언론사가 결정하도록 하는 구조로 변경하게 된 것"이라며 "기사에 대한 독자들의 의견이 오가는 공론장으로서 댓글 서비스가 잘 활용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서비스운영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