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례 연기 끝 마감…텐센트·디즈니 불참
텐센트 불참 원인, 중국정부 규제·국내 견제 등 의견 분분
텐센트 불참 원인, 중국정부 규제·국내 견제 등 의견 분분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국에서 마감된 넥슨의 지주회사 NXC 매각 본 입찰에는 업계 예상대로 카카오, 넷마블, MBK파트너스, KKR, 베인캐피털 등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넥슨 입찰은 지난달에만 총 3번이나 연기되며 난항을 겪었다. 당초 본 입찰은 2월 예비 입찰 진행 후 4월께 이뤄질 예정이었지만, 지난달 15일로 미뤄졌고, 또다시 24일로 전격 연기됐다. 이후에도 적격인수 후보자 중 한 곳이 입찰마감 연기를 요청해 또 다시 지연됐다. 이에 업계에서는 김정주 넥슨 회장이 원하는 가격과 인수 업체측의 제시 가격 사이 격차가 너무 큰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매각 대상은 NXC의 지분 98.64%로, 넥슨 보유 지분 47.98%의 가치는 6~7조원으로 평가되며, 넥슨이 상장된 일본 증시의 공개 매수 조항까지 합하면 최대 13조원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텐센트의 불참 이유는 아직 확인된 바 없다. 업계에서는 최근 중국 정부가 ‘게임총량제’로 유통 게임 수를 규제하거나 텐센트의 SNS 위챗에 단체 채팅방 개설을 금지하는 등 압박이 거세지자 텐센트가 참여를 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또 국내 토종 게임사가 중국 자본에 넘어가는 것을 견제한 국내 업계의 시선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텐센트는 입찰에 참여한 넷마블, 카카오들의 주주인만큼 향후 두 업체 중 한 곳이 넥슨을 인수하게 될 경우 간접적으로 넥슨 경영에 참여할 수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추후 텐센트가 넷마블, 카카오 등 입찰에 참여한 기업들과 간접적인 형태로 넥슨 인수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