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보는 한국경제 거목 정주영(1915~2001)] ⑦
[글로벌이코노믹=김영조 기자] “모두가 반대하던 건설업, 정주영이 하면 성공한다”는 마음으로 달려들었던 정주영의 건설사업은 어려움 속에서도 착착 성공에의 길로 한발자국씩 접어드는 듯했다. 처음 얼마간은 미군의 절대적인 믿음 속에 미군 건설 공사를 독점해가면서 승승장구 하는 기세였다. 하지만, 그런 정주영 앞에 또 하나의 시련의 강물이 기다리고 있었다.1953년 6월 휴전협정이 맺어지면서 미군들이 철수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정주영은 미군 공사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정부의 전후 복구공사에 뛰어들었다. 그런 차원에서 현대건설은 조폐공사가 발주한 고령교 공사를 수주했다. 물깊이가 무려 10m나 되는 곳에 열세개의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60m짜리 다리 몸체를 놓아야 하는 당시로서는 쉽지 않은 공사였다. 2년의 공사기간에 계약금액 5457만환이었다. 고령교는 대구와 거창을 잇는 다리로 지리산 공비 토벌을 위해 정부가 시급하게 놓아야만 했으며, 그때까지 정부 발주 공사 가운데 가장 큰 규모였기에 정주영은 복구공사에 큰 기대를 걸었다.
그러나 정주영은 무작정 공사를 시작한 것만은 아니었다. 해방 전 시미즈(淸水)건설 조선지점에서 풍부한 교량공사시공 경험을 갖고 있던 김영필을 상무로 초빙하여 현장소장으로 앉히고, 와세다공고(早稻田工高) 토목과 출신 이연술을 기술주임으로 영입해와 탄탄한 인적구조도 마련했다.
그런데 공사는 처음부터 난관을 만난다.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의 상판까지 부서진 채 물 속에 잠겨 있었기에 복구공사라기보다는 차라리 신축공사라고 해야 할만 했다. 어려움은 그것뿐이 아니었다. 낙동강의 겨울은 수심이 얕았지만, 여름에는 물이 불어 겨울철의 몇 배만큼이나 깊어 공사하기가 여간 난감한 게 아니었다. 더 큰 문제는 장비 부족이었다. 이때는 6‧25전쟁이 끝난 직후로 복구할 자재가 거의 없었음은 물론 장비라고 해봐야 20톤짜리 크레인 한 대, 믹서 한 대, 컴프레서 한 대가 전부였다. 이렇게 영세한 장비 탓에 공사의 대부분을 사람 손에 의지하는 원시적인 방법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그렇게 힘들게 세워놓은 다리는 홍수가 나자 허무하게 쓸려 내려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공사를 착공한 지 1년이 지나도록 교각 하나 제대로 세우지 못하고 있었으니 난감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어려움은 공사 자체만이 아니었다. 당시 정부는 ‘긴급통화조치령’을 발표했는데, 화폐가치가 100원에서 1환으로 평가절하 되면서 1년 사이에 물가가 거의 120배 치솟으며 경제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착공 당시 700환이었던 기름은 무려 2300환까지 뛰었으며, 40환이던 쌀 한가마 값도 2년 만에 4000환이나 될 정도였다. 덩달아 자재 값도 날마다 뛰고 일꾼들의 품삯도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다. 그러니 원래 영세한 자본으로 시작한 현대건설은 공사가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데다가 자금난까지 겹쳐 쩔쩔 맸고 공사장 인부들은 임금을 달라고 일손을 놓았다. 정주영은 아무 정신이 없었다. 일단 불을 끄고 보아야만 했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날마다 발바닥에 불이 나도록 이리저리 뛰어다녔다.
하지만 그의 노력에 견주어 자금줄은 더욱 죄어져 갔다. 회사 직원들의 월급이 한두 달씩 밀린 것은 물론 사무실에는 매일 빚쟁이들이 몰려와 돈을 내놓으라고 아우성이었다. 그러니 맘먹고 유학 보냈던 동생 정세영에게 몇 달째 돈을 보내지 못하고 있었다. 정주영 스스로도 언제나 긍정적인 사고로 세상을 헤쳐 나갔지만 당시는 “앞이 깜깜해서 길이 보이지 않았다.”고 털어 놓을 정도로 현대건설은 완전히 바람 앞의 촛불이었다.

그러자 현대건설이 미군공사에서 돈 버는 것을 배 아파하던 경쟁 업체들은 이러한 현대건설의 어려움에 빈정대는 소리를 쏟아 놓았다.
“뭘 알아야 하지. 무식한데 공기가 2년이나 되는 장기공사가 얼마나 어려운줄 알 리가 있겠어?”
“무식한 정주영이 하는 계약이 그렇지. 일괄계약에 리스크를 계산에 넣을 리가 없었지.”
“그동안 미군공사에서 잘해 먹었는데 손해 좀 봐도 괜찮지 않아”
심지어는 직원들 가운데서도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견디다 못한 아우와 부사장 등이 조심스럽게 이젠 공사를 접자고 말했다. 그러나 정주영은 불 같이 화를 냈다.
“아니 공사를 접자고? 정신이 있는 소리야?”
“손해가 눈덩이처럼 자꾸 불어나니까 어쩔 수 없는 것 아닙니까?”
“지금 어려운 줄은 나도 알아. 하지만 공사를 중단하는 것은 약속을 어기는 거고, 약속을 어기면 우리의 신용은 끝장나는 거야. 그럼 모든 걸 잃게 된다는 것도 몰라?”
“도저히 감당하기 어려우니까 하는 말이지요.”
“다시는 공사를 안 하고 끝낼 작정이라면 모르지만, 그만두는 건 말도 안 돼.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