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상반기 철강결산-②철강재] 철근 강관 ‘최상’ 냉연 아연도 ‘호조’…열연 중후판 ‘추락’

공유
1

[상반기 철강결산-②철강재] 철근 강관 ‘최상’ 냉연 아연도 ‘호조’…열연 중후판 ‘추락’

철근 강관 생산 출하 두자릿수 증가 기록…열연 수출급감 중후판 내수붕괴

[글로벌이코노믹 김종혁 기자] 철근과 강관 생산과 출하량이 올 상반기 일제히 증가했다.

철근은 내수 활황이 원천이 됐고 강관은 미국 유정용강관(OCTG) 시장 회복이 실적을 견인했다. 냉연 아연도는 국내외 시장에서 종횡무진 했다. 반면 열연은 무역규제 충격으로 수출이 급감했다. 중후판은 조선업 붕괴로 내수가 무너졌다.
자료 : 한국철강협회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 한국철강협회


◇주요 품목 11개 중 중후판 형강 석도만 감소…철근 강관 최대폭 증가


14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주요 철강재 11개 품목의 상반기 생산을 집계한 결과 총 4904만 톤이 생산됐다. 전년 동기 대비 5.7%(265만 톤) 증가했다. 장기간 침체로 재고를 줄여서 운영한 가운데 올 1분기 가격 급등에 따른 수요 증가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품목별로 철근과 강관은 최근 몇 년간 최대 실적을 거뒀다.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의 철근 생산은 569만 톤으로 11.8%나 증가했다. 하반기도 활황이 유지되고 있어 연간 1천 만톤대의 실적이 유력시 되고 있다.

세아제강 현대제철이 주축이 된 강관은 292만 톤으로 20.% 급증했다. 증가율로는 철근은 크게 웃돌았다. 미국 유정용강관 시장 회복이 가장 큰 호재였다. 7월 말 미국 리그(rig) 수는 2110개로 지난해 같은 시점과 비교해 42%나 폭증했다. 22개월 최고치이기도 하다.

냉연과 아연도 제품은 516만 톤, 506만 톤으로 9.0%, 4.2% 각각 늘어났다. 포스코의 자동차강판을 필두가 됐다. 열연(1912만 톤), 선재(163만 톤), 봉강(149만 톤), 칼라강판(105만 톤) 등도 증가했다.

반면 중후판이 433만 톤으로 8.9% 즐어든 것을 비롯해 형강(227만 톤), 석도강판(333만 톤)은 감소했다.

◇출하량 철근 냉연 아연도 강관 ‘호조’…열연 중후판 형강 선재 ‘침체’

11개 철강재의 출하량은 3733만 톤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4% 줄어든 수치다. 철근 냉연 아연도 강관 등은 호조를 보인 반면 규모가 가장 큰 열연은 비롯 중후판 형강 선재 석도강판 등은 침체를 겪었기 때문이다.

우선 열연강판 출하량은 825만 톤으로 6.6%(58만 톤) 줄었다. 내수(482만 톤)는 6.2% 증가한 반면 수출(343만 톤)은 20.1%나 급감했다. 국내 중국산 수입이 줄어든 것이 그나마 실적 추락을 최소화 했다.

중후판은 429만 톤으로 11.8% 줄었다. 내수가(291만 톤)가 24.1%나 감소한 탓이다. 수출은 138만 톤으로 33.7%나 증가했다.

형강(163만 톤)과 선재(161만 톤)도 각각 29.2%, 1.6% 감소했다. 석도강판(32만 톤)은 2.6% 줄었다. 형강과 석도강판은 내수와 수출이 모두 감소했고, 선재는 내수 부진이 원인이 됐다.


김종혁 기자 jh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