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사업추진단 출범해 수소 '생산-유통-공급' 생태계 마련...2025년까지 25만톤 생산

SK그룹 지주사 SK㈜가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수소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SK㈜는 수소 밸류체인 구축을 통해 국내 수소 시장 생태계를 강화하고 최태원(60) SK그룹 회장이 주력하고 있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는 최근 에너지 관련 회사 SK이노베이션, SK E&S 등 관계사 전문 인력 20여명으로 구성된 수소 사업 전담 조직 ‘수소 사업 추진단’을 신설했다.
SK㈜는 수소 생산부터 유통,공급에 이르는 안정적인 수소 밸류체인을 통합 운영하고 글로벌 수소 시장 진출까지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SK㈜ 자회사 SK E&S를 중심으로 2023년부터 연간 3만톤 규모의 액화 수소 생산설비를 건설해 수도권 지역에 액화 수소를 공급한다.
SK㈜는 SK E&S를 통해 친환경 ‘블루수소' 대량 생산 체제도 가동할 방침이다. SK E&S는 국내 최대 민간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자로 2025년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25만톤 규모의 ‘블루 수소’를 추가 생산할 예정이다.
SK㈜는 석유, LNG 등 기존 에너지 사업에서 밸류체인 통합을 통해 에너지 생태계 조성을 주도한 경험과 노하우가 있다. 이러한 역량을 적극 활용해 '수소 생산-유통-공급'에 이르는 국내 수소 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조속히 정착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SK㈜는 글로벌 수소 시장 공략에도 나설 계획이다. 수소 관련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 투자는 물론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해 글로벌 수소 사업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SK㈜는 이번 수소 시장 진출을 통해 ESG 경영 방침을 재확인하고 경제적 가치 측면에서도 최적의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다.
이를 통해 SK㈜는 국내 수소 사업 본격 추진, 글로벌 시장 진출 강화 등으로 수소 생태계를 구축해 2025년까지 그룹 차원에서 30조원 수준의 순자산가치(NAV)를 추가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K㈜ 관계자는 “그룹 차원의 수소 사업 추진 결정은 SK㈜ 투자 포트폴리오가 친환경으로 본격 전환하는 출발점을 뜻한다”라며 “그간 축적된 에너지 사업 역량을 친환경 수소 생태계 조성에 투입해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ESG경영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amsa091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