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재 생산 공정서 불순물 제거에 필수 소재
2026년까지 매년 60% 이상 수요 성장 전망
2026년까지 매년 60% 이상 수요 성장 전망

15일 업계에 따르면 실제 시장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수치는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30년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수요는 2867GWh(기가와트시)에 이를 전망이다. 배터리 용량 기준 1GWh마다 430t의 가성소다가 사용되는 만큼 2030년에 필요한 가성소다는 최소 123만2810t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이를 바탕으로 한화솔루션은 향후 10년간 약 16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국내 양극재(전구체 제조용)에 사용되는 가성소다 수요도 대폭 늘어났다. 2021년 기준 4만t 수준으로 전체 수요의 2~3%에 불과했으나, 국내 주요 양극재 제조사들의 전구체 내재화 확대 및 생산력 급증에 매년 60% 이상의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업계는 전망했다. 2026년 추정 수요는 37만t이다. 가성소다 생산 기업으로선 전기차 시장 성장과 함께 국내 수요 증가에 따른 수익 상승이 기대된다.
앞서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지이엠, 한국전구체, 코스모신소재, 엘엔에프 등 양극재 제조사들은 올해 6만1000t에서 2026년 41만5000t까지 생산력을 키울 계획으로 알려졌다. 특히 배터리 소재 국산화에 힘쏟고 있는 포스코케미칼은 전구체 내재화율을 2025년까지 67.3%로 높일 것이란 구상을 밝혔다.
국내에선 한화솔루션(84만t), LG화학(70만t), 롯데정밀화학(37만t)이 가성소다를 생산하는 핵심 기업이다. 3사의 연간 총 생산량은 약 190만t에 달한다. 이 중 적극적으로 사업 확대에 나선 기업은 한화솔루션이다. 수요 대응을 위한 선제적 조치로 지난해 12월 여수 생산설비 증설에 3380억원 투자를 결정했다. 계획대로 2025년까지 생산설비 증설이 마무리되면 연간 111만t으로 생산력이 늘어나게 된다.
한화솔루션은 현 시점이 시장 공략의 적기로 판단했다. 수요가 늘어나는 반면 중국에서 석탄 기반의 생산시설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북미에선 노후화된 생산시설이 폐쇄되면서 전 세계 가성소다 공급 부족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국내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는 LG화학도 가성소다 생산력 확대를 위한 투자 방안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미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nk254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