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스텔란티스, 배터리 생산 목표 달성 위해 K-배터리와 또 협력할까?

공유
1

스텔란티스, 배터리 생산 목표 달성 위해 K-배터리와 또 협력할까?

카를로스 타바레스 스텔란티스 CEO "미국 내 배터리 공장 최대 2곳 더 필요해"
우수한 기술력으로 주요 완성차 업체와 협력 관계 이어온 K-배터리 업체 부상

스텔란티스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스텔란티스 로고. 사진=로이터
스텔란티스가 미국 내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이 1~2곳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파트너사로 선정되기 위한 배터리 업체들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국내 배터리 업체가 유력한 후보로 부상하고 있다.

3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카를로스 타바레스 스텔란티스 최고경영자(CEO)는 스텔란티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프랑스 토탈에너지가 합작한 오토모티브셀컴퍼니(ACC)가 프랑스에 세우는 4개의 배터리 공장 중 첫번째 공장 준공식에 참석해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그는 '생산량 목표 달성'을 배터리 공장 추가 건설의 이유로 들었다. 앞서 지난해 스텔란티스는 40GWh(기가와트시)의 배터리 생산량을 오는 2030년 400GWh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 담긴 중장기 경영 전략인 '데어 포워드 2030'을 발표했다.

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미국 내 투자를 유리하게 만든 점도 이유로 꼽혔다. 카를로스 타바레스 CEO는 "IRA가 미국에서의 투자 조건을 매우 유리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8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IRA에 서명한 이후 주요 완성차 업체와 배터리 업체들은 미국 시장에서 세액 공제 혜택을 받고자 합작 공장을 짓는 등의 구체적인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IRA는 북미에서 조립되고 배터리 자재 혹은 부품을 미국이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에서 일정 비율 이상 조달한 전기차에 한해 최대 7500달러의 보조금을 세액 공제 형태로 지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보조금은 북미에서 제조·조립한 배터리 부품 사용 시 3750달러, 미국이나 FTA 체결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핵심 광물 사용 시 3750달러가 각각 지급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스텔란티스의 경우 지난해 기준 총 670만대의 차량을 판매하며 세계 판매량 순위 4위에 올랐다. 또 2030년까지 탄소배출 50%를 감축하고 세계 시장에서 연간 500만대의 전기차를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배터리 업체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수요를 가진 고객사 확보는 물론 북미 전기차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상당 부분 가져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배터리 합작 파트너로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업체 3사가 유력할 것으로 점쳐진다. 이미 국내 배터리 3사는 오랜 배터리 연구 기간을 통해 축적한 우수한 기술력에 더해 파우치형, 각형, 원통형 등 다양한 배터리 형태를 제작하고 있다. 차세대 배터리로 평가받는 전고체 배터리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아울러 국내 배터리 3사는 현재 스텔란티스뿐 아니라 현대자동차그룹, 제너럴모터스(GM), 포드, BMW 등 업체와 활발한 협력을 이어가며 전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 이미 입증했다.

또 개관식에 참석한 브뤼노 르메르 재정경제부 장관이 "유럽연합(EU)이 (배터리 산업에서) 힘을 써야 한다"며 "중국은 봐주지 않는다"며 말하며 중국과 선을 그은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스텔란티스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와 협력을 가져가고 있다. 그래서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지만, 새로운 플레이어가 있을 수도 있다.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한편, 스텔란티스는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와 각각 캐나다와 미국에 배터리 합작 공장을 짓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스텔란티스와 37억달러(4조9454억원)을 투자해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시에 배터리 합작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삼성SDI는 스텔란티스와 미국 인디애나주에 배터리 합작 공장을 짓고 있으며 이 합작법인은 올해 말 착공에 들어가 2025년 1분기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될 예정이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