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컨소시엄 꾸려 정부 CCU 프로젝트 참여
이산화탄소 배출 줄이고 핵심 원료 확보 도움
"탄소중립 시대를 여는 중요한 전환점 될 것"
이산화탄소 배출 줄이고 핵심 원료 확보 도움
"탄소중립 시대를 여는 중요한 전환점 될 것"

7일 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한국화학연구원, 경상북도 등과 함께 CCU 컨소시엄을 꾸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CCU 초대형 사업에 참여해 탄소 저감과 자원화 기술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CCU 컨소시엄은 포항제철소를 실증 부지로 제안하여 지난해 10월 과기정통부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 2025년 예비타당성 검토를 거쳐 2026년 실증사업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2028년 포항제철소에 설비를 구축해 2030년 실증 운전에 나설 계획이다.
포스코홀딩스는 미래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포스코,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등과 협력해 제철소 부지와 부생가스를 제공하고 이산화탄소 포집과 메탄올 합성 등 제철공정 탄소저감 기술 개발에 참여한다.
LG화학은 포항제철소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면 메탄건식개질(DRM) 기술을 활용해 석탄 대신 환원제로 사용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CO), 수소를 생산한다. DRM 기술은 CCU의 한 종류다. 이산화탄소와 메탄(CH4)을 원료로 환원제인 일산화탄소(CO), 수소를 생산해 제철 공정에 사용되는 석탄을 줄일 수 있다.
양사는 이번 협업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대량으로 저감하고 핵심 원료와 연료를 경제성 있게 확보해 대한민국 탄소중립 달성의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본사업이 시행되면 CCU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전문 인력 양성에도 속도가 날 것으로 보고 있다.
김기수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장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이고 고부가가치 소재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양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