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판매량·가격 국내외서↑
이차전지 소재와 인프라는 이익↓
상반기 구조개편으로 현금 3500억원 창출
이차전지 소재와 인프라는 이익↓
상반기 구조개편으로 현금 3500억원 창출

철강사업은 국내와 해외 철강사업 모두 판매량이 늘어 매출이 증가한 데다 판매가 상승과 철광석·원료탄 등 주원료비 하락 영향으로 6100억 원의 영업이익을 나타냈다.
포스코홀딩스의 철강부문 자회사 포스코만 놓고 보면 영업이익률 5.7%를 기록해 2023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설비 효율화 등으로 원가구조를 개선하고, 에너지·원료 비중 감축과 디지털 전환을 통한 생산성 제고 같은 다양한 원가 경쟁력 개선 노력이 주효했기 때문이라고 포스코홀딩스는 설명했다.
철강사업은 향후 고부가가치제품 개발 확대 및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본원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미래형 제철기술인 ‘수소환원제철’ 상용기술 개발에도 주력한다.
인프라사업 부문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가스전, 팜농장 등 해외 사업에서 꾸준하게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반면 포스코이앤씨의 건설 원가 증가 영향으로 인프라사업의 전체적인 이익이 감소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해부터 진행하고 있는 저수익·비핵심자산 구조개편 성과도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 총 11건의 구조개편을 마무리해 약 3500억 원 수준의 현금을 창출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47건의 구조 개편을 거쳐 약 1조 원의 현금을 추가 확보해 그룹의 재무건전성을 높이고 기업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