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무관세 고려하면 원가 증가 효과
'韓 의존' 부품·철강재 관세도 고려해야
美 생산이 해법…마케팅 확대도 병행해야
'韓 의존' 부품·철강재 관세도 고려해야
美 생산이 해법…마케팅 확대도 병행해야

4일 글로벌이코노믹이 자동차 분야 전문가들에게 질의한 결과, 이들은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산 자동차의 관세가 15%로 결정된 것을 두고 한국에 불리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15% 관세율이 일본·EU와 같은 수준이지만, 원래 한국 자동차 제품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덕에 미국 시장에 무관세로 수출돼왔기 때문이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사실상 관세를 2.5%P 더 올린 효과가 자동차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면 30%가량의 수익 감소로 나타날 것”이라면서 “기업이 관세를 감내하면 수익이 줄고,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면 판매량과 매출 감소가 우려돼 한국 완성차 기업들이 손익분기점을 파악하고 가격 정책을 새로 수립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과 철강재에 각각 25%와 50% 매겨진 품목 관세도 부담이다. 부품을 생산하는 한국 중소업체와 시황 침체를 겪는 철강사들을 향해 관세 부담을 이유로 공급가 인하를 요구하면 결국 자동차 산업 생태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완성차 기업들에 미국 생산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고, 미국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한 마케팅 확대를 주문했다.
이 교수는 “글로벌 기업들을 향한 미국 정부의 대미 투자 확대 요구는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고용 창출을 고려해 차기 정권에서도 이어질 것”이라면서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는 결국 생산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완성차 생산뿐만 아니라 차 부품, 자동차용 철강재도 각각 관세가 더해지므로 현지화 전략에 포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교수는 “자동차 시장에서 소비자는 가격 상한선을 정해놓고 구매 여부를 고려하기 때문에 가격 인상과 프로모션 축소, 품질 문제 등이 나타나면 다른 회사 제품으로 이동한다”면서 “일단 판매량이 한 번 떨어지기 시작하면 하락세를 멈추기 어렵다는 점이 자동차 산업의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마케팅 강화와 할인 정책 등으로 충격을 완화할 단기적인 방안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