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2025년 투자액 302억 달러로 1위…엑시트 성공률은 美가 최고

6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T파인드 웹진에 실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글로벌 반도체 스타트업 투자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5년부터 2025년까지 반도체 스타트업에 302억5000만 달러를 투자해 글로벌 총액(571억9000만 달러)의 52.9%를 차지했다. 투자 건수는 1130건(38.2%)으로, 스타트업당 평균 투자금은 6억7100만 달러로 가장 높았다.
미국은 투자 건수 687건(23.2%), 투자액은 113억9000만 달러(19.9%)로 2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105건(3.5%), 10억1000만 달러(1.8%)에 그쳤다.
투자 회수(엑시트) 성공률은 미국이 5.24%(13개사/248개)로 가장 높았고, 한국은 3.70%(2개사/54개), 중국은 1.72%(11개사/640개)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중국이 반도체 공급망 자립화 전략에 따라 제조 인프라에 집중 투자하고 있으며, 민간 VC 투자 공백을 정부 자금으로 보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미국은 인공지능(AI) 반도체, 양자 컴퓨팅 등 첨단 분야에 투자하며 기술 우위를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한국은 1억6200만 달러를 AI 가속기와 반도체 IP 설계 분야에 투자하고 있으며, 리벨리온, 세미파이브 등 스타트업을 통해 기존 메모리 중심 생태계에서 AI 반도체로 확장을 시도 중이다.
보고서는 “한국 기업 중 투자 상위 100대에 포함된 곳은 4곳에 불과해 글로벌 영향력은 제한적이지만, AI 반도체 설계나 IP 개발 분야에서는 차별화된 강점을 보인다”며 대기업과 기술특화 스타트업 간 연대 강화, 해외 투자 유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태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eyi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