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이 ‘실현 불가능’해지면서 변명이 구구했다. 당시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은 “공약을 임기 중에 달성하겠다는 게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최 수석은 또 “공약의 시점은 임기 끝날 때가 아니라 임기 중 경제기반을 마련해서 중장기적 목표로 제시한 것”이었다고도 했다.
김황식 국무총리도 “747 공약은 당장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달성할 수 있도록 국정 운영을 하겠다는 취지”였다며 “여러 경제 상황이 바뀌고 국민이 당장은 어렵다고 인정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폐기 운운하는 것보다는 현재 여건에서 어떻게 합리적으로 할 것인가 생각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래도 대기업들만큼은 승승장구하고 있었다.
일본의 아사히신문은 “브라운관 TV 이후 소니 등 일본 전자업체가 주도해온 세계 TV 시장에서 이제는 한국 기업에 열세를 부정할 수 없게 되었다”고 털어놓고 있었다.
일본 기업 파나소닉은 “OLED TV는 2015년쯤 시장 규모가 커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일본 기업들이 그보다 일찍 제품을 내놓아야 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개발 경쟁에서 뒤졌음을 인정한 것이다.
더 있었다.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북미국제오토쇼'에서 세계적인 자동차회사인 크라이슬러와 포드가 자기들이 개발한 ‘신차’를 현대자동차와 비교하기도 했다.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라는 언론은 “지금까지는 업계 관계자들이 3개의 미국 브랜드와 3개의 일본 브랜드를 합쳐서 ‘빅 6’라고 표현했지만, 이제는 떠오르는 현대까지 함께 ‘빅 7’이라고 말한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렇게 대기업들은 정부 대신 ‘747’을 해내고 있었다. 물론, 그런데도 대기업은 ‘당연히 동네북’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정세균 전 국회의장을 국무총리로 지명하면서 반발이 나오고 있다. ‘삼권분립 흔드는 도발, 입법부의 행정부 시녀화, 행정부 하수인’ 등등이다. “국회의장에서 총리로 진출한 전례가 없다”는 성토도 있었다.
그러나 따져볼 것은 더 있다.
문 대통령은 “통합과 화합으로 국민의 힘을 하나로 모으고, 국민이 변화를 체감하실 수 있도록 민생과 경제에서 성과를 이뤄내는 시대적 요구에 가장 잘 맞는 적임자가 정세균 후보자라고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또 “정 후보자는 우선 경제를 잘 아는 분이며, 성공한 실물 경제인 출신이고, 참여정부 산업부 장관으로 수출 3000억 불 시대를 열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정 후보자 스스로도 “경제 살리기와 국민 통합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경제 전문가’는 지금 정부에도 있다. 적지 않다. 경제 부총리가 있고, 경제부처 장관과 차관이 있다. 청와대 경제수석도 있다. 그런데, 또 경제 전문가 지명이었다.
정 후보자가 총리직을 수행하면서 경제가 살아난다면 지금까지 ‘경제가 좋다’던 정부의 주장은 '억지'였다는 반론(反論)이 성립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새삼스럽게 경제 전문가였다.
과거 이 대통령은 ‘대기업 CEO’ 출신이었다. 누가 봐도 경제 전문가가 아닐 수 없었다. 그러면서도 공약으로 내세웠던 ‘474’는 실패였다. 오히려 대기업들이 나라 경제를 빛내고 있었다.
경제 전문가를 국무총리로 발탁해서 나라 경제가 살아난다면 바람직할 수 있지만, 경제를 살리는 것은 궁극적으로 기업 몫이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