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스갯소리로 인터넷엔 '천하제일 횡령 대회'라는 제목의 풍자 글까지 등장했다. 네티즌들이 횡령 금액이 큰 순서대로 순위를 매겼는데 횡령대회 1위는 2215억원을 기록한 오스템 임플란트에 돌아갔다. 이어 우리은행이 614억원으로 2위, 계양전기가 245억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특히 금융권의 최근 5년간의 횡령사고를 추적해 보면, 은행·보험·카드·증권·저축은행 등 금융권에서 횡령한 임직원은 174명으로 집계됐다. 횡령액은 총 1091억8260만원이다. 업권별로는 은행이 91명, 횡령 규모는 808억3410만원에 달했다.
금융업계는 금융권 신뢰 회복이 필요하다는 일침이다. 해법은 역시나 '내부통제 강화'다. 내부통제제도를 잘 만들면 개인 일탈 가능성이 줄어든다. 실제 오류나 일탈이 있어도 자체적으로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셈이다.
일각에서는 횡령 수법은 점점 고도화되고 있지만 정작 금융회사들은 주먹구구식 감시 시스템으로 내부통제를 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횡령 사건의 위중함이나 횡령 금액에 비해 솜방망이 처벌도 경각심을 갖지 못하게 한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첫 검사 출신 금융감독원장으로 '금융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은 이복현 원장의 어깨가 무겁다. 앞으로 이 원장이 재임 기간 동안 특수부 검사 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금융사고 근절을 위해 어떤 해결 방법을 내놓을지 지켜볼 일이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