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영칼럼] 다민족·다인종 국가로의 전환, 우리의 준비는 충분한가?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3

[경영칼럼] 다민족·다인종 국가로의 전환, 우리의 준비는 충분한가?

박민희 '리더는 결정으로 말한다' 저자이미지 확대보기
박민희 '리더는 결정으로 말한다' 저자
한국은 단일민족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해왔다. 또한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의 결정에 따라 공식적으로 선진국 그룹에 진입한 경제 강국이기도 하다. OECD에서는 외국인 비중이 인구의 5%를 넘어서면 '다인종·다민족 국가'로 규정하며, 우리나라도 다인종·다문화 국가의 기준이 되는 '외국인 5%'로 진입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다문화 수용도는 2018년 BBC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7개 국가 중 26위를 차지했다. 연령이 낮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높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낮았다. 미국·중국과 같은 강대국은 다문화 정책보다는 다민족·다인종 국가 정책을 시행해 왔다. 호주는 정책적으로 다양성을 ‘생산적 다양성 프로그램’으로 부르며 국가 경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활용하고 있다.
초국적 기업들은 ‘다양성이 부를 증가시킨다’는 슬로건으로 이러한 다양성 정책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윤수종 교수는 “초국적 기업들은 문화적, 인종적, 성별 차이를 고용을 넘어 이들을 위한 시장을 만들고 소비자로 포용해 더 많은 부를 쌓는다”고 말한다. 과거 우리 사회는 '단일민족'의 신화에 기반해 우리 사회의 정체성과 전통성을 구축해 왔지만, 오늘날 우리 사회는 더 이상 이러한 신화를 기반으로 사회의 통합과 결속을 유지해 나갈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로 말미암아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는 이들 중심의 거주지역과 주변 상권이 형성되기도 한다. 다민족주의는 주류사회의 전통이나 관습, 문화에 기반을 둔 다수집단의 정체성과 이에 포함되지 않는 소수집단의 정체성 간의 공존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민족주의에서는 다양성과 포용이 중요하다. 이러한 지역공동체의 변화를 생각해 본다면 우리 사회의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문제가 대두되면서 구성원 간 욕구 충돌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욕구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즉, 사회적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기존 구성원과 새로운 이주자들에 의해 발생하는 일상생활과 노동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그리고 기성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발생하는 동화욕구와 보존욕구다. 이러한 상충되는 욕구들 사이에서 미리 점검해야 할 것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문화적 인식 차이에 대한 준비도
-젠더(gender) 구조 이해와 가족구성, 음식문화, 회사 내 역할 기대 등

2. 언어 장벽
-한국어를 기반으로 업무 등 일상생활을 해갈 때와 재문화화의 예상되는 어려움 체크

3. 주변의 차별과 편견
-경제적 이유, 피부색 등 외양에 의한 차별과 편견에 대한 대비

가까운 미래에 우리는 이질적 문화가 국내 기업에 유입됨으로써 삶에서 일상화되는 시대에 살게 되며 기존 문화와 공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혐오와 차별의 반대편에는 다양성의 공존과 평등이 있다. 최근에는 다양성이 공존하는 사회일수록 부와 창의성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혐오에 들어가는 소모적이고 파괴적인 에너지를 창의적 에너지로 바꾼다면 우리 사회 전체의 부와 역량이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사항들에 대한 점검을 통해 공존을 위한 배려와 포용의 준비도를 높여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박민희 '리더는 결정으로 말한다'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