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맹국이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을 가리지 않고 상호관세 카드를 들이대며 협상을 진행하는 이유다. 한국도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기 전에 미국과 실무 협의를 타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양국 간 실무 협의는 5월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의 방한을 계기로 분수령을 맞게 될 전망이다.
트럼프식 일방주의 정책과 제조업 부흥의 꿈은 전 세계의 반발을 불러일으키는 중이다. 상호관세가 세계무역기구(WTO)를 중심으로 한 자유무역 질서마저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57개 경제주체에 대해 고율의 상호관세를 제시했다가 13시간 만에 취소한 것도 이 때문이다. 100% 넘는 초고율 관세로 치킨 게임을 펼치고 있는 미·중 대립은 접점을 찾기도 힘든 모양새다.
동맹과 관세 협상을 마무리한 뒤 중국을 봉쇄하겠다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관세 압박을 받는 동맹이 미국에 협조할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EU는 물론 일본 등 동맹도 중국 포위에 동참하라는 트럼프의 요구에 침묵으로 응답하는 이유다.
트럼프 정부는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고치겠다고 벼르고 있지만 중국의 희토류 금수(禁輸), 미 국채 매각, 무역 다변화 카드 등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제조·생산 시설을 미국 내에 재구축하려는 구상도 어렵긴 마찬가지다. 현재 일자리보다 공장에서 일하는 게 낫다고 응답한 미국인은 4명 중 한 명에 불과할 정도다.
1990년 이후 미국에서 사라진 제조업 일자리는 500만 개 이상이지만 서비스와 IT 등 분야에서 1180만 개의 일자리가 늘었기 때문이다. 트럼프의 셈법이 틀렸다는 게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의 보도다.
한국 기업이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옮기면 국내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과 같은 논리다. 각국의 특성을 고려한 글로벌 공급망을 유지하도록 미국을 설득하는 전략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