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은 9일 2차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라면값을 언급하면서 물가 대책을 보고하라고 경제 관련 각 부처에 지시했다. 대표적인 서민 식품 중 하나인 라면을 콕 집어 예로 들었지만 대통령의 발언 취지는 결국 물가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라는 뜻으로 읽힌다.
서민 생활과 직결된 물가를 잡는 데 총력을 기울이는 것은 대통령의 당연한 책무다. 다만 정부와 여당이 전 국민 25만 원 재난지원금 편성 등을 공언하며 막대한 돈을 시중에 풀려고 하고 있어 상충되는 메시지를 내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0%대로 추락하는 등 무엇보다 경기에 대한 우려가 크기 때문에 재정 건전성 악화와 물가 상승을 피할 수 없더라도 2차 추경이 불가피하다는 시각이 많다. 또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1%대에 그치면서 물가에 대한 우려 역시 적은 편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추경이 불가피한 측면은 있지만 물가를 자극하지 않는 선에서 적정 규모로 짜야 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이 대통령과 정부는 최근 물가 상승률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 이미 2022년(5.1%), 2023년(3.6%) 등 고물가 추세가 누적되면서 미세한 물가 상승에도 서민들이 체감하는 부담은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라면값이 하루아침에 2000원이 된 것은 아니다. 1000원, 1300원, 1500원, 1800원을 넘어설 때마다 정부가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결과물이다. 서민들에게 일회성으로 25만 원 쥐여주고 라면값이 2500원까지 오른다면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 청구서는 국민들이 부담하는 셈이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