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민생 안정 대책에는 산불과 호우 피해가 집중된 특별재난지역을 대상으로 숙박 할인 쿠폰 15만 장 발행 계획도 포함됐다. 재난 피해 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 혜택을 보도록 설계했으며, 지방 관광과 숙박 소비를 활성화하고 지역 경제 회복을 지원하려는 목적이 담겨 있다.
추석 민생 대책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가 공동 준비했으며, 사과, 소고기, 굴비, 배, 한우 등 다양한 성수품이 포함된다. 총 900억 원 예산이 투입되고 전국 981개 매장이 참여하며, 선물세트도 최대 40~50% 할인 혜택을 제공해 국민 체감형 지원을 강화했다.
유통 업계는 추석을 앞두고 온·오프라인에서 대규모 할인과 프로모션으로 소비자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마트는 고랭지 배추를 3980원에 판매하며, 포인트 적립 시 20% 추가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판매 전략은 급등한 물가로 높아진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는 목적이다.
한국 유통산업은 온·오프라인 경계가 허물어지고, 초개인화와 ESG 경영 등 새로운 흐름에서 전환기를 맞고 있다. 산업 구조가 재편되면서 기업과 정부가 적응하지 않으면 글로벌 경쟁력에서 뒤처지는 상황에 유통기업들은 디지털 전환과 AI 기반 서비스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8월의 배추와 농산물 가격은 7월 말 대비 28% 이상 급등했고, 정부의 민생 회복 소비 쿠폰 정책은 막대한 재정에도 소비 진작에 실패했다. 8월 소매 판매는 2.4% 감소하며 1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음식료품과 가전제품 소비 감소는 경기 침체가 심각함을 보여준다.
정부는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하며 단기적 소비 촉진을 시도했으나, 재산 기준 미흡과 사용처 제한, 대형 유통업체의 편법 운영 등으로 정책 신뢰는 손상되었고, 국민 체감 효과는 제한적이다. 장기적 경제 활력 확보를 위해서, 체계적 개선과 구조적 접근이 요구된다.
산업 전반의 생산과 투자 상황도 부진하다. 광공업은 소폭 증가했지만, 서비스업 생산은 0.7% 감소했고, 설비투자와 건설기성도 하락세다. 단기적 재정 투입만으로 경제를 되살리기 어렵고, 정부가 단기 처방에 의존하는 동안 재정 건전성은 악화되며, 구조적인 문제는 방치되고 있다.
퍼주기 정책은 국가 재정 부담을 키우고 있다. 한국은행 단기 차입 18조 원, 소상인공인 113만 명 빚 16조 원 탕감, 직장인 점심값 50% 지원 등 선심성 지출이 늘었지만, 국민 체감은 제한적이며, 도덕적 해이와 포퓰리즘 논란이 확대하고, 구조적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골목상권에서 들리는 “못 살겠다”는 비명과 민생경제 문제 해결 없이는 국정 혼란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중산층 기회 감소와 물가 상승, 재정 악화에도 중장기 대책은 부재하며, 이는 국가 신뢰를 흔들고 정권이 장기 전략을 소홀히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한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2025년 소매유통시장 성장률은 0.4%에 그칠 전망이다. 내수 경기 침체와 소비심리 위축, 고물가와 고금리 등 복합적 요인으로 기업들은 생존 전략과 비용 효율화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이는 '20년 팬데믹 이후 최저 성장 수준으로 대응이 시급하다.
조사 응답 업체의 66.3%는 향후 유통시장에 대해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기업들은 불확실한 경제 속에서 매출 확대가 어렵고, 단기 수익성과 비용 구조 조정이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온라인쇼핑은 소폭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경쟁 심화로 수익성 확보에는 부담이다.
경기 침체와 불확실성 속에서 유통기업들은 효율화로 대응하지만, 국가 정책과 소비심리 회복 여부에 따라 실적 변동이 크다. 글로벌 경쟁에서 점포 구조 조정과 일부 기업의 회생 신청은 유통산업 위기를 보여주며, 장기 성장을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전략이 필수적이다.
임실근 (사)한국스마트유통물류연구원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