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서울과 경기 12곳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으나 상승 흐름을 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공급 부족을 놔둔 채 수요 억제만으론 부동산 과열을 막을 수 없다는 게 다시 확인된 셈이다.
부동산 심리지수를 보면 서울의 경우 상승 기대 심리는 10월 기준 137.5까지 올라간 상태다. 부동산 심리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95 이하면 하락을, 115 이상이면 상승세를 반영한다.
지난주 주간상승률 0.17%보다 오름폭이 더 커졌다. 10월 셋째 주 0.5%로 고점을 찍은 후 상승폭을 줄이다가 다시 확대로 전환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 상승세는 42주째 이어지고 있다. 매물 잠김으로 오히려 실수요자들만 피해를 보는 셈이다. 규제를 푸는 게 답이란 주장이 나오고 있을 정도다.
강남 3구의 경우 규제 이후 상승세가 가파르다. 송파구는 한 주 동안 0.53% 더 올랐고, 강남구(0.24%)·서초구(0.23%)도 마찬가지다.
용산(0.38%)·성동(0.435%)·동작(0.3%)·양천(0.34%)은 물론 노원·도봉 지역도 미미한 상승세를 유지 중이다.
문제는 앞뒤 안 맞는 규제다. 임대 등록을 장려했다가 갑자기 정책을 선회해 관련 제도를 없애버리고, 규제지역과 토지허가구역까지 지정하는 등 엇박자 정책에 신뢰를 잃은 지 오래다.
9·7 대책에서 비아파트 공급 확대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신축 매입 임대사업을 확대하겠다고 한 것도 무용지물이란 게 업계의 주장이다.
수요가 있는 지역에 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과감히 펼쳐야 한다.

















![[뉴욕증시] 금리 인하 기대감 속 3대 지수↑](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2606445305949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