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포집·저장·이용 R&D 중장기 로드맵' 수립
한난 강점 살려 도심발전소 기반 CCUS 시설 확대
한난 강점 살려 도심발전소 기반 CCUS 시설 확대

한난은 지난 9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탄소포집·저장·이용(CCUS) R&D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발표했다.
CCUS는 발전소·석유화학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해 저장하거나 다시 활용해 직접적으로 탄소감축을 실현하는 기술로, 한국석유공사, SK이노베이션, 포스코 등이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석유공사는 SK이노베이션 등과 함께 동해가스전 지층에 향후 30년간 총 1200만t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저장하는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난은 현재 도심발전소 현장에 이산화탄소 분리막 기술과 이를 활용한 자원화 기술을 적용한 실증설비를 운영 중이며, 오는 2023년까지 1메가와트(㎿)급 '도심형 컴팩트 CCUS' 실증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후 2025년부터 2050년까지 수원, 청주, 대구, 양산 등에 총 5470억 원을 투자, 각 10㎿~100㎿ 규모의 도심형 컴팩트 CCUS 기술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도심 지역에 친환경 열병합발전소를 운영, 공동주택과 빌딩 등에 열과 전력을 공급하는 한난은 이러한 사업 특성에 맞춰 폐자원 에너지화 사업도 적극 벌이고 있다.
폐플라스틱 등을 열분해해 청정유를 생산하고 추출한 청정유를 다시 수소로 만드는 W2H(Waste to Hydrogen) 사업,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등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 등 산업연료를 생산하는 B2H(Biogas to Hydrogen) 사업 등이 그것이다.
W2H 사업과 B2H 사업은 모두 한국판 뉴딜 40대 중점 프로젝트로 선정돼 주목받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이다.
한난은 CCUS 등 사업을 통해 2050년까지 한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83%를 감축한다는 목표이다.
한난 관계자는 "한난은 친환경에너지 공기업으로서 기후위기 극복과 국가 탄소중립 목표실현을 위해 CCUS 연구개발 실증과 상용화, 확대 보급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