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면, 세계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2030년까지 태양광 설비 용량은 12배, 풍력발전은 4배가 각각 증가하는 등 큰 폭으로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처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세계적 추세임에도 정부와 공기업이 이런 흐름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28일 한국전력 산하 발전 공기업의 ‘2023∼2027 중장기재무관리계획’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5개(한국남부·남동·동서·서부·중부) 기업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국내외 석탄·액화천연가스(LNG) 등 화석연료 발전소 건설과 기존설비 보강에 24조2566억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액은 4조7379억원으로 화석연료 분야 투자액의 19.53%에 그쳤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액이 가장 적은 곳은 남부발전으로 앞으로 5년간 4382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화석연료 분야 투자 계획 5조7237억원의 7.65% 수준에 불과한 금액이다.
동서발전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액은 에너지1조9628억원으로 화석연료 분야 투자액의 절반(44.73%)에 가깝다. 남부발전과는 1조5246억원 차이다. 그 뒤를 이어 서부발전과 중부발전, 남동발전 순으로 각각 8970억원(18.01%), 7594억원(19.38%), 6805억원(12.96%)을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다. 동서발전을 제외한 4곳 모두 화석연료 투자액의 5분의 1 이하 수준이다.
기후환경단체들이 온실가스를 다배출한다고 지적한 ‘신에너지’ 연료전지와 ‘재생에너지’ 바이오매스를 제외한 태양광·풍력에너지에 대한 투자액은 화석연료 투자액의 13.87%(3조3654억원) 수준으로 더 낮았다. 서부·중부발전은 2027년, 남동발전은 2025년∼2026년, 남부발전은 2026∼2027년에 아예 태양광 투자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석연료 중심의 발전 공기업 5개사는 지난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기업 2∼6위를 차지했다. 현재 발전공기업 5사의 신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은 크게 부족한 상태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중부발전은 신재생 설비가 129.1㎿로 전체 설비 대비 비중이 1%였다.
동서발전(150.6㎿)은 1.6%, 남부발전(374㎿)은 3.2%, 서부발전(587.2㎿)은 5.1%로 나타났다. 남동발전(1247.5㎿)으로 12.4%를 기록했지만, 태양광과 풍력 설비 용량만 계산하면 666.4㎿(6.6%)로 떨어진다.
발전 공기업들은 석탄발전소를 폐쇄하고 액화전연가스(LNG) 발전소로 전환하는 정부 계획에 화석연료 분야에 대한 투자액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정부의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25년부터 2030년까지 당진1~4호기(동서발전) 등 노후 석탄발전소 20기(9.5GW)가 폐쇄된 후 LNG 발전소로 모두 전환될 예정이다.
발전 공기업 5개사가 이처럼 화석연료 중심 투자에 집중하는 것과 달리 세계는 태양광·풍력·바이오가스를 중심으로 분야별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큰 폭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990∼2012년 사이 신재생에너지의 분야별 연평균 공급 증가율은 태양광 46.8%, 풍력 24.9%, 바이오가스 14.3% 수준이었다. 하지만 2030년까지 분야별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큰 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2030년 세계 태양광발전 설비 용량은 2013년(152GW) 대비 12배 이상 증가(1.9TW)할 것으로 전망된다. 발전단가는 계속 하락하면서 태양광발전 보조금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2030년 세계 풍력발전 설비 용량도 1,319GW로 2013년(319GW) 대비 4배 이상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육상풍력 기술은 성숙기 진입이 임박한 반면, 해상풍력은 고비용, 점유율 저조 등으로 2030년까지 정부의 보조금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이 확대되면서 탄소중립에 기여하고 있지만, 국내 공기업은 신재생에너지 설비 투자 실적이 부진해 세계적 추세에서 벗어나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현 정부는 화석연료 중심인 발전 공기업의 에너지전환을 강력히 추진해 국내기업들의 알이100(RE100) 이행 등 수출경쟁력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여러 환경단체는 지적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