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 교체 대상 우선순위 제공…효율적 설비투자 의사결정 지원

한국전력은 지난 7일 한전 본사 비전홀에서 빅데이터 기반 전력설비 자산관리시스템(AMS)을 개통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9일 밝혔다.
자산관리 플랫폼 AMS(Asset Management System)는 전력설비 생애주기 빅데이터 기반의 고장확률과 발생 영향을 종합 평가한다. 최적 교체 대상 우선순위를 제공해 효율적 설비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한전뿐만 아니라 대부분 글로벌 전력회사는 노후 설비의 증가로 안정적인 설비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전은 이런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력설비 자산관리시스템 구축을 추진했다.
AMS 적용 대상 전력설비는 송배전 주요설비 10종(250만대, 8만c-km)이며, 분산된 운영시스템의 1150억건 데이터를 연계 및 정제해 고품질의 통합 디비(DB)를 구축했다.
송배전 주요설비 10종은 배전설비 5종 : 주상변압기, 지상변압기, 가공개폐기, 지중개폐기, 배전케이블 등 배전설비 5종, 가공전선, OF케이블, XLPE케이블, 전력용변압기, 가스절연개폐장치 등 송전설비 5종을 일컫는다.
앞으로 한전은 AMS의 신속한 정착에 주력해 구체적인 성과기 위해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과 창의적 혁신으로 성능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김동철 사장은 이날 행사에너 “자산관리시스템은 최적의 설비 교체 시기를 선정해, 전력공급 신뢰도를 높이면서 투자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며 “회사가 겪는 재무위기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