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전국 미분양 가파른 '상승세'...악성 미분양 1만5000호 '육박'

글로벌이코노믹

전국 미분양 가파른 '상승세'...악성 미분양 1만5000호 '육박'

전국 미분양 주택 7만4037가구…7개월 연속 증가
경기지역 미분양 9956가구로 전국 1위
악성 미분양도 11개월 연속 증가...지방이 전체의 80.5%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7만4037호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7만4037호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전국에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도 11개월 연속 늘어나면서 1만5000가구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4037가구다. 지난 5월과 비교해 2.6%(1908호) 늘어난 수치다.

미분양 물량은 지난 3월(6만4964가구)부터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1만5051가구로 전월 대비 2.0%(290가구) 증가했다. 경기 지역에서 미분양이 지난달 1000가구 넘게 늘어난 탓이다.
인천과 서울은 전월 대비 775가구, 15가구 각각 줄었다.

지난달 말 기준 경기지역의 미분양은 9956가구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대구(9738가구)보다도 많다. 경기지역 미분양은 주로 평택, 안성에서 발생했다.

강원과 대전도 전월 대비 급증했다. 강원은 4740가구로 전월보다 30.3%(1101가구), 대전은 3299가구로 30.0%(761가구) 각각 증가했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도 11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만4856가구로 5월 1만3230가구와 비교해 12.3%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지방이 1만1965가구로 전체의 80.5%를 차지했다.

지역별로 경남이 1771가구로 가장 많고 대구가 1635가구로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1627가구가 쌓인 전남이다.

이밖에 제주(1414가구), 부산(1402가구) 등도 1000가구 이상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도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한 달 새 206가구에서 728가구로 3배 이상 늘었다.

수도권에서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역시 경기가 가장 많았다. 지난달 말 기준 경기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767가구로 전월(1278가구)보다 38.3% 증가했다.

한편 지난 6월 전국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2만3886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1% 줄었다. 올해 상반기 누계 인허가 역시 14만9860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6.1% 감소했다.

수도권 인허가가 24.8%, 지방은 27.0% 각각 줄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