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농진청, 치유농업 확대·민관 협력 강화…2025년 정부혁신 실행계획 발표

글로벌이코노믹

농진청, 치유농업 확대·민관 협력 강화…2025년 정부혁신 실행계획 발표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이 19일 전북 완주군에 있는 화훼농장을 방문해 청년농업인 유입 확대와 안정 정착에 관한 현장 목소리를 듣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이 19일 전북 완주군에 있는 화훼농장을 방문해 청년농업인 유입 확대와 안정 정착에 관한 현장 목소리를 듣고 있다. 사진=뉴시스
농촌진흥청이 농업·농촌 현장의 실질적 어려움 해결을 위해 민관 협업 체계를 대폭 확충하고, 교육·치유 서비스를 확대하는 정부혁신 실행계획을 내놨다.

농촌진흥청은 30일 ‘2025년 정부혁신 실행계획’을 확정하고, 국민 체감형 행정 구현을 위한 3대 전략 과제를 바탕으로 8개 분야 22개 세부 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소통과 협력 ▲서비스 향상 ▲업무 효율화라는 정부혁신 기본방향에 초점을 맞췄다.

우선 ‘소통·협력’ 부문에서는 국민과의 직접적인 접점을 넓히기 위해 현장 중심의 영농 전문 상담을 강화하고, 노지 스마트농업 실증모델을 확산시킨다. 아울러 반복 민원 예방을 위한 맞춤형 민원 대응체계를 마련해 농업인의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부처 간 협업도 본격화된다.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로 전환하고, 소각재를 비료로 활용하는 자원순환 모델은 환경과 에너지를 아우르는 다부처 연계 프로젝트로 추진된다. 또한, 민간과 함께하는 ‘융복합 협업 프로젝트’를 통해 정책 실행 속도도 높일 계획이다.
‘서비스 향상’ 부문에서는 치유농업 확대가 핵심이다. 초등학생 방과후 통합 프로그램인 ‘늘봄학교’와 정신건강 전문가 대상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해 농업을 통한 심리 회복과 정서 지원을 강화한다. 다문화 가정과 외국인 거주자에겐 식품 성분 정보를 제공해 식생활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할 계획이다.

‘업무 효율화’ 분야에선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된다. 밀의 품종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스피드 브리딩(세대단축 기술)을 고도화하고, 디지털 육종 플랫폼을 구축해 농업 R&D 전반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스마트농업 아카데미 운영, AI 및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농업 현장 분석 등 디지털 역량 강화 과제도 포함됐다.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 농업 연구개발 체계를 확립하겠다는 복안이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지난해 대통령상 수상과 정부혁신 평가 우수기관 선정 등 의미 있는 성과를 낸 바 있다”며, “올해도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첨단기술과 협업을 통한 농업 혁신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육동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dy33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