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내식성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 기술' 녹색기술 인증
철근 콘크리트 사용량 등 감소...온실가스 배출량 약 80% 감소
철근 콘크리트 사용량 등 감소...온실가스 배출량 약 80% 감소

2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DL건설이 롯데건설, 두산건설, 제이테크이엔씨와 공동으로 개발한 ‘고내식성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 기술’이 녹색기술 인증(GT-25-02267)을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인증받은 기술은 기존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 대신 고내식성 강판과 측면 차수키, 다용도 철판을 활용해 강재 구조체로 엘리베이터 피트를 시공하는 기술이다.
위 기술을 활용하면 강재 구조체로 EV피트 하부를 형성하여 기존 기술 대비 터파기 깊이가 감소하고 기초 철근 콘크리트 사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강재 사용량은 기존기술대비 약 72%, 콘크리트 사용량은 약 84% 각각 감소하는 등 원자재 사용량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번 기술은 녹색기술 인증에 걸맞게 탄소배출량을 저감하는 효과가 크다.
환경산업기술원 기준의 탄소배출계수를 적용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600세대 아파트 기준 29만5376.59 kgCO2에서 5만6854.83 kgCO2으로 약 80% 대폭 감소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며 녹생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DL건설 관계자는 “고내식성 엘리베이터 피트 시공 기술 보급을 통해 건축물의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강화하고 국가 탄소중립 정책 실현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녹색 기술개발과 현장 적용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녹색 인증이란 ‘탄소중립기본법’에 의거하여 유망한 녹색기술을 인증하고 지원하는 제도로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8개 부처가 전담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그 중 녹색기술 인증은 온실가스 감축 기술, 청정생산 기술, 청정에너지 기술, 자원순환 및 친환경 기술 등 사회·경제 활동 전 과정의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해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에 대한 인증이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