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선 등 변수에 서울 부동산 시장 '개점 휴업'...거래 줄며 '눈치 보기'

글로벌이코노믹

대선 등 변수에 서울 부동산 시장 '개점 휴업'...거래 줄며 '눈치 보기'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 거래 감소...지난 3월 9919건→4월 4562건 '급감'
새 정부 부동산 정책·대출 규제 강화·금리 인하 등 변수에 '관망세' 지속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지난 2월 6550건에서 3월 9919건으로 늘었다가 4월에는 4562건으로 절반 넘게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지난 2월 6550건에서 3월 9919건으로 늘었다가 4월에는 4562건으로 절반 넘게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대선을 앞두고 서울 부동산 거래 시장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선과 대출 규제 강화, 금리 인하 등 변수가 겹치면서 거래가 줄어들고 관망세를 보이고 있어서다.

특히 서울 집값 변동은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방향성에 달려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매도·매수자 모두 대선 전까지 눈치 보기 장세를 이어가는 분위기다.

2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지난 2월 6550건에서 3월 9919건으로 늘어났다가 4월에는 4562건으로 절반 넘게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숨 고르기에 들어가며 지난 2월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한 뒤 아파트 거래량이 급증하다 4월 재지정 이후 주춤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이 결정되고 본격적인 대선 정국에 들어서면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를 이끌던 강남구(3월 812건→4월 70건), 서초구(3월 538건→4월 13건), 송파구(3월 888건→4월 100건), 용산구(3월 194건→4월 24건) 지역 모두 거래량이 급감했다.

부동산시장에서는 하반기 거래량도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윤곽이 확실하게 드러나기 전까지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외에도 대출 규제 강화, 금리 인하 등 다양한 변수들로 매도·매수자들이 의사 결정을 미루고 제한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주택 매수 심리 지표도 두 달째 기준선 아래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8.8로 집계됐다.

매매수급지수는 한국부동산원이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설문해 수요와 공급 비중(0~200)을 지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다만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최근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달 첫째 주 98.1에서 둘째 주 98.3으로 소폭 상승했고 지난주에는 전주 대비 0.5p 올랐다. 지수는 완만하게 상승 중이지만 지난 3월 셋째 주 100.6을 보인 이후 지난주까지 100을 넘지는 못하고 있다.

부동산학계 관계자는 "대선을 앞두고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금리 인하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해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숨 고르기에 들어간 상황"이라며 "대선 이후 차기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구체화하기 전까지 시장 참여자들이 관망세를 보이며 제한적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최성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ava0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