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 수해복구 현장서 곧장 회의장으로… ‘무역위기 시즌2’ 신속 가동

이날 대책회의에서 경기도는 관세협상 타결로 피해가 예상되는 도내 중소기업들을 위해 ‘특별경영자금’ 500억 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관세 부과로 도내 자동차 부품업체, K-뷰티, K-식품 등 소비재 수출 중소기업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시장 불확실성 해소와 피해 최소화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로써 경기도의 특별경영자금 지원 규모는 지난 4월 결정한 500억 원을 포함해 총 1000억 원으로 확대된다. 4월 이후 지금까지 이미 90개 업체에 399억 원이 지원된 상황이다. 이번 자금의 업체당 지원한도는 최대 5억 원이다.
또 경기도는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대상을 기존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구리 등 6대 품목에서 화장품·의료기기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김 지사는 “화장품, 의료기기 분야의 피해도 예상된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지원 업종을 늘려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회의는 일회성에 그치지 않는다. 김 지사는 “오늘 회의를 ‘무역위기 대응 시즌2’의 시작점으로 삼아 향후 2·3차 추가 대책도 내놓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김 지사는 모두발언에서 “우리가 주시하고 마음 졸이던 결과가 드디어 나왔다. 경제를 가장 어렵게 하는 것은 불확실성인데, 이번 협상은 그 불확실성을 해소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첫째, 경쟁국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결론을 도출한 점. 둘째, 시한 내 협상 타결로 시장 안정감을 확보한 점. 셋째, 농축산물 등 비관세 장벽을 방어한 점”을 긍정적으로 꼽았다.
특히 외교 성과에 대해서도 “한미정상회담을 끌어낸 것은 큰 환영할 일”이라며 “한국이 윤석열 정부의 역주행을 넘어서 정상화됐고, 불법계엄과 비정상 외교를 씻어내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김 지사는 “여야, 보수와 진보를 넘어 이제는 이재명 정부의 실용·국익외교에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국정의 든든한 파트너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육동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dy33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