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동연 “한미 관세협상 타결, 경기도 중소기업 500억 추가 긴급지원”

글로벌이코노믹

김동연 “한미 관세협상 타결, 경기도 중소기업 500억 추가 긴급지원”

가평 수해복구 현장서 곧장 회의장으로… ‘무역위기 시즌2’ 신속 가동
경기도청사 전경. 사진=경기도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청사 전경.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을 접하자마자 ‘경기도 특별지원대책 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이날 김 지사는 가평군 수해복구 현장에서 자원봉사 활동 중에 정부의 공식 발표를 듣고 즉시 회의 소집을 지시, 7시간 만에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이날 대책회의에서 경기도는 관세협상 타결로 피해가 예상되는 도내 중소기업들을 위해 ‘특별경영자금’ 500억 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관세 부과로 도내 자동차 부품업체, K-뷰티, K-식품 등 소비재 수출 중소기업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시장 불확실성 해소와 피해 최소화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로써 경기도의 특별경영자금 지원 규모는 지난 4월 결정한 500억 원을 포함해 총 1000억 원으로 확대된다. 4월 이후 지금까지 이미 90개 업체에 399억 원이 지원된 상황이다. 이번 자금의 업체당 지원한도는 최대 5억 원이다.

또 경기도는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대상을 기존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구리 등 6대 품목에서 화장품·의료기기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김 지사는 “화장품, 의료기기 분야의 피해도 예상된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지원 업종을 늘려나가겠다”고 밝혔다.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앞두고 김 지사는 “감액추경이 불가피하더라도 관세협상 타결로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 지원 예산만큼은 반드시 지키고, 필요시 증액하라”고 지시했다. 도내 주요 사업 예산을 조정하더라도 수출지원과 연관된 예산은 손대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대책회의는 일회성에 그치지 않는다. 김 지사는 “오늘 회의를 ‘무역위기 대응 시즌2’의 시작점으로 삼아 향후 2·3차 추가 대책도 내놓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김 지사는 모두발언에서 “우리가 주시하고 마음 졸이던 결과가 드디어 나왔다. 경제를 가장 어렵게 하는 것은 불확실성인데, 이번 협상은 그 불확실성을 해소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첫째, 경쟁국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결론을 도출한 점. 둘째, 시한 내 협상 타결로 시장 안정감을 확보한 점. 셋째, 농축산물 등 비관세 장벽을 방어한 점”을 긍정적으로 꼽았다.

특히 외교 성과에 대해서도 “한미정상회담을 끌어낸 것은 큰 환영할 일”이라며 “한국이 윤석열 정부의 역주행을 넘어서 정상화됐고, 불법계엄과 비정상 외교를 씻어내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김 지사는 “여야, 보수와 진보를 넘어 이제는 이재명 정부의 실용·국익외교에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국정의 든든한 파트너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육동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dy33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