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 시행 후 2개월 간 거래 110건
직전 2개월 거래량의 48.9% 수준
주담대·DSR 규제에 거래 위축된 듯
강남3구 신축 거래는 여전히 활발
직전 2개월 거래량의 48.9% 수준
주담대·DSR 규제에 거래 위축된 듯
강남3구 신축 거래는 여전히 활발

2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6·27 대책 시행일인 6월 28일부터 전날까지 2개월간 신고된 서울 아파트 분양권·입주권 매매는 모두 110건(계약해제 건 제외)이다.
이는 대책 시행 전 2개월(4월29일∼6월27일)간 거래량(225건)의 48.9%다.
입주권은 재개발·재건축 조합원이 향후 신축될 아파트에 입주할 권리이며 분양권은 일반인이 청약제도를 이용해 새 아파트에 입주할 권리를 뜻한다.
6·27 대책 중 주택 구입 목적 주택담보대출 상한이 6억원으로 제한된 데다 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까지 시행되자 잔금 지급을 위한 대출 확보가 크게 어려워졌다.
이는 분양권·입주권 매매에도 적용되는 규정이라 고액 대출로 아파트 분양권이나 입주권 잔금을 치르려던 이들이 계획을 유보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6·27 대책 시행 이후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에서 이뤄진 입주권 매매계약은 16건(14.5%)으로 현금 여력이 충분한 수요자들은 신축 고가 아파트 입주권을 여전히 사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5일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전용면적 179㎡ 26층 입주권이 78억6500만원에 거래됐고 같은 달 15일에는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135.5㎡ 입주권이 71억원에 거래됐다.
이달 6일에도 강남구 청담동 청담 르엘 84.9㎡ 입주권이 55억5000만원에 팔렸다.
강북에서도 마포구 공덕동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 84.9㎡ 분양권이 지난달 22일 27억원에 거래되는 등 주요 단지 분양권·입주권은 간헐적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