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도로공사, 토목공사 현장 무인·원격으로 작업자 안전 확보...도저·롤러·굴착기 등 작업 시연

글로벌이코노믹

도로공사, 토목공사 현장 무인·원격으로 작업자 안전 확보...도저·롤러·굴착기 등 작업 시연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23일 한국건설기계연구원 내 시험부지 조성공사 현장에서 다종의 대형 건설장비가 작업자 개입 없이 군집 협업하는 ‘토공 자동화 기술’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사진=도로공사이미지 확대보기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23일 한국건설기계연구원 내 시험부지 조성공사 현장에서 다종의 대형 건설장비가 작업자 개입 없이 군집 협업하는 ‘토공 자동화 기술’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사진=도로공사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23일 한국건설기계연구원 내 시험부지 조성공사 현장에서 다종의 대형 건설장비가 작업자 개입 없이 군집 협업하는 ‘토공 자동화 기술’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 2020년부터 한국도로공사가 총괄하고 있는 '스마트건설기술개발 국가R&D사업'의 중점과제 중 한양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함께 개발한 토공 자동화 최신기술을 실 현장 적용을 통해 알리고자 마련됐다.

시연에서는 미래 건설산업의 주역이 될 군산대 토목공학과 학생 등 산·학·연 관계자 약 50여 명이 참석했으며, △디지털 맵핑 △지능형 관제 △협소 공간(30m×50m)에서 다종 중장비의 무인 군집·자동화 작업을 선보였다.
토공 무인화 기술은 작업자와 중장비의 작업 공간을 격리시켜, 건설 현장의 충돌·끼임 등 중대재해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의 무인 작업을 통해 고령화로 인한 숙련공 부족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한국도로공사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김포-파주 건설공사 1공구’(2023년), ‘경부고속도로 신탄진휴게소 하이패스IC 설치공사’(2024년) 등의 실제 사업에 해당 기술을 적용해 왔으며, 작년까지는 건설장비 각각의 무인화 작업만 가능했다면 올해는 기술개발을 통해 다종 장비의 협동·군집 작업이 가능하게 됐다.

조성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연구처장은 “이번 시연은 디지털 기술 기반으로 공사 현장을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건설의 청사진을 보여준 것”이라고 밝혔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