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5일 한국교통안전공단(이하 TS)의 2024년 자동차검사 통계를 보면 전체 검사차량 1362만 대 중 292만 대의 차량이 부적합(부적합률 21.44%) 판정을 받았다.
총 검사대수는 2023년 1329만대에서 1362만대로 2.5% 증가했고, 부적합률은 2023년 21.56%에서 2024년 21.44%로 전년대비 0.12%p 감소했다.
장치 항목별 부적합 차량 대수는 △등화장치 부적합 차량 181만5550대(부적합률 13.33%) △전조등 70만19대(5.14%) △브레이크 32만946대(2.36%)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조등‧브레이크‧원동기 등 부적합 차량은 전년대비 증가했고, 등화장치‧배기가스 등 부적합 차량은 전년대비 감소했다.
차량의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 차령이 높아지고, 주행거리가 길어질수록 부적합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종별 부적합률은 화물차가, 연료별 부적합률은 LPG 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차령에 따른 부적합률을 분석한 결과, △차령 4년 이하 부적합률 9.63% △5년 초과~6년 이하 13.76% △6년 초과~7년 이하 15.71% △14년 초과 33.2% 등으로 나타나 차령이 높아질수록 부적합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행거리별 부적합률을 분석한 결과, △5만㎞ 미만 구간 부적합률은 9.25% △5만㎞ 이상~10만㎞ 미만 15.77% △20만㎞ 이상~25만㎞ 미만 32.33% △25만㎞ 31.76%로 나타나 주행거리에 따라 부적합률이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차종별 부적합률 분석 결과, 화물차 부적합률이 26.95%를 보이며, △승용차 19.49% △승합차 19.78% △특수차 19.17% 대비 현저히 높은 부적합률을 보였다.
연료 종류별 부적합률 분석 결과, LPG차량의 부적합률이 24.03% 로 가장 높았고, △경유(23.58%) △휘발유(19.78%) △CNG(12.76%) △무동력(12.73%) △하이브리드(10.86%) △전기(8.32%) 순으로 나타났다.
자동차검사의 사회적 편익을 분석한 결과, 자동차검사를 통해 부적합 사항을 시정함으로써 연간 약 4만4976건의 교통사고 예방 효과가 있었으며, 교통안전 측면에서 약 5914억 원에 달하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또한, 환경적 측면에서는 △일산화탄소(CO) 1만1127톤 △탄화수소(HC) 1970톤 △질소산화물(Nox) 1059톤 △미세먼지(PM) 2410톤 저감 효과가 발생했으며, 검사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40년생 나무 6751만 그루가 1년 간 흡수하는 미세먼지 양과 맞먹는 것으로 추산됐다.
TS 정용식 이사장은 "정기적인 자동차 검사 수검을 통해 교통사고 예방, 환경 개선 등 다양한 사회적 편익을 가져올 수 있다"며, "TS는 국민 기대에 맞는 자동차 검사 품질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안전관리 분야에서도 국제 경쟁력을 갖추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반등...조정 반동으로 환매 부진도 나와](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