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집값 양극화 심화, 비싼 집 더 오르고 싼집 가격 떨어지고

글로벌이코노믹

집값 양극화 심화, 비싼 집 더 오르고 싼집 가격 떨어지고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주택값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상하위 10% 주택의 가격 차가 45배로 벌어졌다. 또 40대 이하 전 연령대에서는 3년 연속 유주택자가 감소하는 등 연령별 양극화 현상이 심해졌다.

14일 국가데이터처(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3억33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000만원 이상 상승했다.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34호로 평균 면적은 86.4㎡였다. 주택을 소유한 평균 가구 주는 57.8세, 평균 가구원 수는 2.52명이었다.

상위 10%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13억4000만원이었다. 하위 10% 평균 주택자산가액은 3000만원이다. 상위와 하위가 44.7배에 달한다. 지난 2023년 40.5배보다 지난해 더 상승한 것이다. 집값의 상위 10%는 1년만에 9000만원 올랐고 하위 10%는 100만원 내렸다. 상위 10% 주택 소유자는 평균 2.3호를 소유해서 하위 10% 0.97호보다 더 많았다.

종합부동산세 부과 기준인 12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지난해 48만5000가구로 전년 대비 12.3% 늘었다. 지난해 주택 소유자 1597만6000명 중 1주택자가 85.1%로 대다수였다. 2채 이상 소유자는 237만7000명이다.

주택 보유자는 연령대별로 50대가 404만1000명(25.3%)이었으며 60대(23.0%), 40대(20.3%), 70대(12.6%), 30대(9.2%) 등 순이었다. 40대 이하는 줄어들고 50대 이상은 증가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연령대별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는 모습이다.


최정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unghochoi559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