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증시 부진 속 '빚투' 후유증 커지나...반대매매 하루 평균 530억

글로벌이코노믹

증시 부진 속 '빚투' 후유증 커지나...반대매매 하루 평균 530억

위탁자 미수금 및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 현황 자료=금융투자협회이미지 확대보기
위탁자 미수금 및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 현황 자료=금융투자협회
주식시장이 부진한 흐름을 보이며 빚투 후유증이 커질 전망이다.

최근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로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서 빚내서 투자하는 '빚투'의 경우 반대 매매 등으로 강제 청산될 수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1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들어 지난 12일까지 10월 하루 평균 위탁매매 미수금 잔액은 5669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미수금 대비 실제 반대매매 금액은 53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각각 1월 대비 3.3배, 4.2배로 뛴 금액이며, 미수금 잔액은 올해 가장 많은 수준이다.
미수거래는 개인 투자자가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하고 난 뒤 2영업일 뒤인 실제 결제일(T+2일) 안에 결제대금을 갚는 초단기 외상 거래다. 만기를 보통 3개월 안팎으로 설정하는 신용융자 거래와는 구분된다.

미수금은 투자자가 미수거래 대금을 갚지 못해 생긴 일종의 외상값으로, 투자자가 이 외상값(결제대금)을 납입하지 못하면 증권사가 주식을 강제로 처분해 회수한다. 이를 반대매매라고 한다.

위탁매매 미수금 잔고와 반대매매 금액은 평소 각각 2천억원, 100억원대 정도를 기록해오다가 지난 4월 말 무더기 하한가 사태 이후 대폭 증가했다.

월별로 일평균 미수금·반대매매 추이를 보면, 3월(2098억원·234억원), 4월(2330억원·176억원), 5월(4922억원·489억원), 6월(4725억원·467억원), 7월(5456억원·569억원)을 기록하고 있는데 특히 5월부터 크게 늘었다.

올해 반대매매가 특히 많이 일어난 날은 7월 3∼4일로, 당시는 2차 하한가 사태로 거래가 막혀있던 5종목 거래가 재개된 날이었다.

이후 8월과 9월 일평균 반대매매 금액은 514억원, 510억원으로 다소 줄더니 이달 들어서는 531억원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무더기 하한가 사태 당시 차액결제거래(CFD)뿐만 아니라 해당 종목에 일반 신용융자와 미수 거래를 한 고객들도 있었다"며 "당시 주가가 연일 내리며 미수금과 반대매매가 급격히 늘어났고 7∼8월 이차전지 등 개별종목 등락이 컸던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투협 반대매매 통계에는 신용융자 거래에 의한 반대매매 금액은 포함되지 않고 미수거래에 의한 것만 잡히지만, 비슷한 속성의 레버리지(차입) 투자라는 점에서 두 거래로 발생하는 반대매매는 비슷한 추이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신용융자 거래로 돈을 빌리고 난 뒤 투자자들이 상환을 마치지 않은 신용융자 잔고는 최근 줄고 있는데 이 또한 반대매매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8월 20조5573억원으로 정점에 달했던 신용융자 잔고는 지난달 말 20조원 아래로 떨어지더니 이달 12일에는 18조5461억원으로 감소했다. 코스닥시장 신용 잔고는 7월 말 10조원을 넘기도 했지만 현재 8조7866억원이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지수가 내릴 때 신용융자 잔고가 줄어든다는 것은 자발적인 손절매로 인한 청산 또는 증권사에 의한 반대매매가 많이 일어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반대매매가 시장 하락을 견인할 정도는 아니었겠지만, 월초 낙폭이 컸던 경우는 반대매매 물량들이 출회했을 것 같다"며 "코스닥시장의 경우 이차전지로 개인들이 쏠려있었고 시장의 낙폭이 컸을 때 이차전지 중심으로 매물이 많이 출회됐는데 반대매매에도 영향이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key@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