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용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전문기업 쿼드메디슨(대표 백승기)이 지난 2일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코스닥 상장을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고 10일 밝혔다.
쿼드메디슨은 지난달 29일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으며, 총 공모주식수는 170만주다. 공모 희망가는 주당 1만2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약 204억~255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이 예상된다.
회사 측은 11월 14~20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거쳐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11월 25~26일 일반 청약을 진행한 뒤 12월 초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상장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쿼드메디슨은 주사제와 경구제의 한계를 보완하는 차세대 약물전달 기술인 ‘마이크로니들’을 핵심 사업으로 하고 있다. 마이크로니들은 통증과 감염 위험을 줄이고, 위장관 부담 및 흡수 편차 문제를 개선할 수 있어 환자 편의성과 치료 효율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회사는 마이크로니들 제조에 필요한 △정밀 가공 및 사출 기술 △제형 설계 기술 △대량생산 공정 자동화 기술을 모두 자체 확보했다. 특히 업계에서 드물게 전체 무균 공정 자동화를 구현해 품질 균일성과 생산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또한 약물 특성에 따라 분리형(S-MAP)과 코팅형(C-MAP) 플랫폼을 맞춤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S-MAP은 2022년 한림제약과 협력해 골다공증 치료제 제형 변경에 활용됐으며, 해외에서 임상 1상을 완료했다. C-MAP은 LG화학의 B형간염 백신 원료를 기반으로 국내 최초의 마이크로니들 백신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다.
현재 쿼드메디슨은 홍역·풍진 백신, 비만치료제, 탈모치료제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으며, 상장 후 공모자금을 활용해 임상 확대와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백승기 대표는 “쿼드메디슨의 마이크로니들 플랫폼은 경구·주사·패치제를 잇는 새로운 약물 전달 체계로 발전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며 “환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치료 환경을 제공하고, 장기적으로 글로벌 제약 산업의 변화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