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인터레저, SWIFT 시스템과 상호 운용성 확보 위한 ISO 20022 공식 승인 획득
XRP, 브릿지 자산 역할로 국경 간 결제 효율 극대화...비용 절감 및 속도 향상 기대
XRP, 브릿지 자산 역할로 국경 간 결제 효율 극대화...비용 절감 및 속도 향상 기대
이미지 확대보기보도에 따르면 이는 리플의 블록체인 기반 결제 레이어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의 광범위한 메시징 네트워크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유명 블록체인 분석가인 SMQKE는 공식 ISO 20022 사이트에서 모자루프 재단이 제출한 ILP 관련 변경 요청이 2024년 말 승인되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승인 요청은 SWIFT 네트워크에서 리플의 인터레저 프로토콜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국경 간 금융의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높일 획기적 도약으로 평가받는다.
승인의 핵심은 XRP와 SWIFT의 연결고리
승인된 제안은 리플의 인터레저 프로토콜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리플의 블록체인 기반 결제 계층과 SWIFT의 ISO 20022 메시징 네트워크 간의 원활한 상호 운용성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SMQKE가 공유한 문서에 따르면, ILP는 XRP를 가치 결제를 위한 브릿지 자산으로 활용하며, 최종 정산은 XRP 원장(XRPL)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ILP가 단순한 개념적 프로토콜이 아닌, 이미 리플의 기존 인프라와 호환되는 실질적인 솔루션임을 입증했다.
SWIFT 대전환기의 전략적 이점
이번 승인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SWIFT가 2026년 초까지 메시징 트래픽의 최대 90%를 ISO 20022 표준으로 완전히 전환하는 대규모 구조적 변화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점에 ILP가 ISO 20022 프레임워크에 공식적으로 포함되면서, SWIFT 전환을 준비 중인 은행들에게 리플의 영향력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리플은 블록체인 업계의 변방이 아닌, 글로벌 금융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인프라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됐다.
주의 사항 및 향후 과제
다만, 승인된 요청이 곧바로 완전하고 즉각적인 통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 변경 요청은 공식적인 절차상의 단계이며, 실제 도입 여부는 전적으로 얼마나 많은 은행과 금융 기관이 이 ILP-SWIFT 연결 방식을 채택하느냐에 달려 있다.
분석가들은 ISO 20022 준수는 메시징 계층에 관한 것이며, 리플이나 XRP의 모든 측면을 인증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승인은 블록체인과 기존 금융 시스템이 원활하게 상호 운용되는 글로벌 금융의 전환점을 예고하는 것이라는 결론이다.
리플은 이제 기존 시스템과 분산원장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수행하며, 글로벌 자금 흐름을 재정의하고 더 빠르고 저렴하며 진정한 상호 운용 가능한 결제 시대를 열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2026 대전망] 李정부 대일 외교 과제·전략](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210836370003335e857d010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