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7개 부처 장관 교체 예정…내각 안정·정부 주요 개혁 과제 추진 가속화
방송통신위원장 후임으로 법률 전문가 후보 검토 중
방송통신위원장 후임으로 법률 전문가 후보 검토 중

부산엑스포 유치 실패와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사퇴 등으로 인한 내각의 불안정성 해소와 함께 연금·노동·교육 등 정부의 3대 개혁 과제 추진에 속도를 내는 것이 목표다.
개각 대상 부처로는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고용노동부 등이 거론된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총선 출마 가능성에 따라 해당 부처도 개각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임으로는 최상목 전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후임으로는 박상우 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과 심교언 국토연구원장이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뒤를 이어서 송상근 전 해양수산부 차관과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후보로 논의되고 있다.
정황근 농림부 장관과 방문규 산업부 장관 후임으로는 각각 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우태희 전 산업부 2차관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최근 출마를 확정한 이영 중기부 장관 후임으로는 유병준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와 민병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이 검토되고 있다. 노동부 장관으로는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으로는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 총장과 유지상 광운대 총장이 후보로 거론된다.
부산엑스포 유치 실패에 따라 유치전을 주도해온 박진 외교부 장관의 개각 대상 포함 여부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총선 출마 가능성 등에 따라 후임 인선 작업도 진행 중이다. 강력·특수통 검사 출신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 길태기·박성재 전 서울고검장 등이 검증 대상에 포함됐다.
중앙부처 19개 장관 중 7~10명이 교체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번 '중폭 개각'은 윤 대통령이 막바지 고심을 거쳐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인선 작업의 진척 상황에 따라 이번 주 후반을 포함, 두 차례로 나누어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 최종 검증 과정에서 일부 인사들이 교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 22일 탄핵안 처리를 앞두고 전격 사퇴함에 따라, 방송통신위원장 자리가 공석이 됐다. 이에 따라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통위원장의 조기 인선을 추진 중이다.
차기 방통위원장 후보로는 판사 출신의 이상인 현 방통위 부위원장과 서울고검장 출신인 김후곤 법무법인 로백스 대표변호사 등이 거론되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방통위의 중요성을 고려해 이동관 전 위원장과 유사한 영향력과 네트워크를 지닌 언론인 출신의 적합성에 대한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홍상표, 최금락 전 청와대 홍보수석, 김장겸 전 MBC 사장, 이진숙 전 대전 MBC 사장, 이목희 전 서울신문 상무이사 등이 후보군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한편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은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의 경기 오산 지역구에 출마하거나 비례대표로 나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축구 국가대표 출신인 이영표 전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이 후임으로 검토되고 있다. 또한 대통령실 사회수석으로 이동한 장상윤 교육부 차관과 총선 출마를 고려 중인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의 후임 인선 작업도 진행 중에 있다.
노훈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unjuro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