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케이뱅크, 1분기 신규 중·저신용대출 26.3% 목표치 미달…잔액 기준 1위

글로벌이코노믹

케이뱅크, 1분기 신규 중·저신용대출 26.3% 목표치 미달…잔액 기준 1위

인터넷은행 3사 이미지.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인터넷은행 3사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의 1분기 신규취급액 기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평잔 기준)이 26.3%에 그치면서 금융당국이 제시하는 목표치(30%)를 채우지 못했다.

지난해까지는 잔액 기준 비중만 30%를 넘기면됐지만 올해부터는 분기 중 신규 취급된 대출의 비중도 30%를 넘겨야 되는데 케이뱅크는 이를 맞추지 못한 것이다. 다만 케이뱅크는 잔액 기준으로는 인터넷은행 3사 중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비중이 가장 컸다.

23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1분기 인터넷 은행의 신규 취급 신용대출 중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비중(평잔 기준)은 카카오뱅크 33.7%, 케이뱅크 26.3%, 토스뱅크 30.4%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은행의 1분기 가계 신용대출,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서민대출 중 보증 한도 초과 대출 신규취급액에서 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 차주에 대한 개인신용대출,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서민금융대출 중 보증 한도 초과 대출 신규취급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를 '평잔 30% 이상'으로 통일했다가, 올해부터 '신규취급액 30% 이상' 기준도 추가했다.

케이뱅크는 올해 1분기 신규취급액 기준 중·저신용대출 비중이 30%를 밑도는 것과 관련해 "평균 잔액은 조기에 공급할수록 반영률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며 "1월보다 2, 3월에 중·저신용대출 비중이 높았다"고 해명했다.

신규취급액이 아닌 잔액 기준으로는 인터넷전문은행 3사 모두 금융당국의 권고치(30%)를 넘었다.

전체 가계신용대출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비중(평잔 기준)은 카카오뱅크가 32.8%, 케이뱅크가 35.0%, 토스뱅크가 34.3%로 집계됐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