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2025년 1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

2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은행들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6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3000억원) 대비 28.7%(1조5000억원) 증가했다.랐다.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한국스탠다드차트·한국씨티은행, iM뱅크)과 특수은행(NH농협·Sh수협·IBK기업·한국산업·한국수출입은행)은 각 3조8000억원, 2조7000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3%(9000억원), 39.7%(8000억원) 증가했다.
이에 비해 지방은행(BNK경남·BNK부산·전북·광주·제주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카카오·케이·토스뱅크)의 순이익은 1년 전 대비 각각 27.7%(1000억원) 줄어든 3000억원, 2.6%(100억원) 줄어든 200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은행의 1분기 이자이익은 14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8%(1000억원) 줄었다. 이자수익 자산이 171조7000억원(5.3%) 늘었으나 시장금리 하락 등으로 순이자마진(NIM)이 동기간 0.10%포인트(P) 하락한 영향이다.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이익률(ROA)은 0.71% 자기자본순이익률(ROE)는 9.55%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13%P, 1.75%P 상승했다.
1분기 비이자이익은 2조원으로 1년 새 6.6%(1000억원) 늘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조5000억원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판매·관리비는 인건비와 물건비 상승 등으로 1년 전 대비 6.3%(4000억원) 늘어난 6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손비용은 1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9%(3000억원) 즐가했다. 홈플러스 기업회생 및 신용손실 확대 우려 등에 따른 충당금 전입이 늘어나면서다.
영업외손익은 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ELS 배상금 등으로 2조200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던 1년 전과 비교해 흑자전환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 지속에도 은행이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