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기술의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증하면서 미국 전력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전기요금 인상, 인프라 투자 부담, 환경 문제까지 겹치면서 소비자와 정치권의 불만도 커지는 양상이다.
◇ AI가 끌어올린 전기요금…소비자 부담으로 전가
15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동부와 중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가정용 전기요금이 급등하고 있다. 오하이오·펜실베이니아·뉴저지·델라웨어 등지에선 최근 월 전기요금이 가구당 20~30달러(약 2만6800~4만200원)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력 수요가 급격히 늘면서 지역 전력시장의 용량 가격이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 “쓴 만큼 내라”는 요구 확산…기업에 책임 묻는 분위기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모량이 전체 전력 사용량의 5% 가까이 차지하면서 인프라 비용을 기업이 더 부담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일부 주에서는 데이터센터에 전용 요금제를 적용하거나 별도 사용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특히 AI 서버가 사용하는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냉각장치 등은 막대한 전력을 소모해 지역 사회의 송전망 확장이나 발전소 증설을 유도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과거처럼 '대형 사용자도 똑같이 기본요금만 내면 된다'는 인식은 더 이상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상황이란 지적이다.
◇ 주정부들 ‘요금체계 손질’ 본격화
일부 주정부는 데이터센터의 급증에 따라 전력 요금체계를 손질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리건주와 펜실베이니아주는 데이터센터 전용 요금제 도입을 검토 중이며 뉴저지주는 데이터센터 건설 시 지역 주민에 대한 부담 검토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논의 중이다.
또 전기요금 급등과 관련한 민원이 급증하고 있어 요금 구조의 공정성 문제가 정치적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 전력만의 문제 아니다…환경·세금 논란도 불붙어
데이터센터의 확장은 환경 및 재정 문제로도 번지고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내 데이터센터들은 오는 2028년까지 폴란드 전체 전력 소비량을 웃도는 수준의 전기를 사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로 인한 공공보건 비용은 연간 57억~92억 달러(약 7조6000억~12조3000억 원)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런 가운데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지자체가 각종 세제 혜택과 보조금을 제공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정작 지역 주민은 전기요금 상승이라는 대가를 치르는 구조에 대한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