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전기차 판매 ‘막차 수요’ 급증…9월 보조금 종료 후 충격 불가피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전기차 판매 ‘막차 수요’ 급증…9월 보조금 종료 후 충격 불가피



지난 2023년 3월 18일(현지시각) 미국 텍사스주 베이타운의 한 주유소 겸 휴게소에서 테슬라 전기차가 슈퍼차저로 고속 충전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3년 3월 18일(현지시각) 미국 텍사스주 베이타운의 한 주유소 겸 휴게소에서 테슬라 전기차가 슈퍼차저로 고속 충전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에서 전기차 판매가 때아닌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27일(현지시각) IT매체 와이어드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7월 서명한 ‘원 빅 뷰티풀 빌’에 따라 연방 전기차 보조금 제도가 다음달 30일 종료되면서 보조금 혜택을 받기 위한 소비자들의 막판 구매 러시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9월 30일 종료되는 EV 보조금

현재 미국 소비자가 받을 수 있는 전기차 보조금은 신차 기준으로 최대 7500달러(약 1047만원), 중고차의 경우 최대 4000달러(약 559만원) 수준이다. 이 제도는 9월 30일까지 차량 계약과 계약금 납부를 마치면 적용 가능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효력이 완전히 사라진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은 차량 인도가 10월 이후라도 9월 말 이전에 계약만 체결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최근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리스·금융시장에 미칠 파장

그러나 문제는 단순 구매 보조금(세액공제) 종료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기차 리스 계약에 적용되던 상업용 세액공제 역시 같은 날 폐지돼 월 납입액이 즉시 상승할 전망이다. 미국 전기차 판매의 상당 비중이 리스를 통해 이뤄졌다는 점에서 저소득·중산층 소비자의 진입 장벽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연방 혜택이 사라지면 4분기 이후 전기차 판매가 급격히 둔화되는 ‘페이백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 경쟁과 인프라의 불균형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올해 세계 신차 판매에서 전기차 비중은 25%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미국은 8% 안팎에 그치고 있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는 고속도로 충전망 구축을 위해 50억달러(약 6조9835억원) 규모의 NEVI 자금을 재가동했지만 가격 유인책에 비해 소비자 체감 효과는 크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결국 인프라는 개선되지만 가격 혜택은 사라지는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NEVI 자금은 미국 연방정부가 추진 중인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예산이다.

◇주(州) 차원의 대응 가능성

캘리포니아주는 연방 혜택 종료 이후 자체적으로 전기차 보조금 제도를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예산 제약으로 인해 규모가 제한적일 수 있으며, 다른 주들까지 동참할지는 불투명하다.

와이어드는 최근의 전기차 판매 급증세가 정책 종료 전 과열 현상일 뿐 지속 가능한 성장의 신호는 아니라고 지적했다. 보조금과 리스 혜택이 동시에 사라진 이후에는 판매 급락, 가격 인상, 글로벌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