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증권금융 창립 70주년] ② 한국증권금융 탄생기, 자본시장 인프라의 초석을 놓다

글로벌이코노믹

[한국증권금융 창립 70주년] ② 한국증권금융 탄생기, 자본시장 인프라의 초석을 놓다

1960년대 담보대출 초기 모습.  사진=한국증권금융 60년사이미지 확대보기
1960년대 담보대출 초기 모습. 사진=한국증권금융 60년사
한국증권금융이 창립 70주년을 맞았다. 1955년 다수 증권사의 공동출자로 탄생한 한국증권금융은 우리나라 자본시장 발전과 궤를 함께해 왔다. 70년 전 해방의 혼란 속에서도 증권시장 재건을 위해 불굴의 의지를 보여준 선배들의 발자취는 오늘날 아시아 금융허브로 성장한 대한민국 자본시장의 소중한 밑거름이 됐다. 한국증권금융 70주년을 계기로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 우리나라 초기 자본시장 태동기의 현황을 2부에 걸쳐 소개한다.

[2부] 한국증권금융 탄생기, 자본시장 인프라의 초석을 놓다


▲ 증권거래소 설립과 자금난 해결책

1954년 정부와 증권업협회는 각각 증권거래소 설립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 하지만 거래소 건물 확보와 자금 조달이라는 현실적 문제에 부딪혔다.
구 조선증권취인소 건물을 임대해 사용하기로 했지만, 건물 수리자금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하거나 회원사로부터 갹출하는 것도 불가능한 상황에서, 증권금융회사 설립을 통한 자금 조달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떠올랐다.

▲ 우여곡절 끝에 탄생한 한국연합증권금융

1954년 12월 29일 증권업협회 임시총회에서 송대순·오호진·설경동 등 7명의 증권금융회사 설립준비위원이 선출됐다. 공칭자본금 2억 환, 납입자본금 5000만 환으로 출발하려 했지만, 자금 사정으로 인해 설립 시기를 둘러싸고 수차례 결정이 번복됐다.

결국 1955년 8월 24일 임시총회에서 공칭자본금 3억 환, 납입자본금 7500만 환으로 확정하고, 각 증권사가 250만 환씩 균등 부담하기로 했다. 9월 27일 28개 증권사의 공동발기로 '한국연합증권금융주식회사' 창립총회가 개최됐다.

초대 사장에는 설경동이 취임했고, 10월 11일 법인 설립 등기를 마쳤다. 회사명에 '연합'을 넣은 것은 모든 회원의 공동출자로 설립한다는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였다.

▲ 법적 기반 확보와 본격적인 영업 개시

당초 재무부는 증권 관계 법률 미비로 인한 적용 법규 논란 때문에 영업면허 인가를 미뤘다. 이에 회사는 우선 사업목적을 '증권업자에 대한 투자, 부동산 투자 및 취득' 등으로 변경해 설립 등기를 마쳤다.

1956년 1월 30일 재무부로부터 조선유가증권업 취체령에 의거해 증권업자로서 정식 면허(증면 제34호)를 취득함으로써 본격적인 영업활동이 가능해졌다.

▲ 우리나라 최초의 증권담보대출

1956년 3월 15일 한국증권금융은 증권업자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증권담보대출을 개시했다. 약 700만 원의 자금을 조성해 1사당 대출 한도를 30만 원으로 정했다.

비록 한정된 재원으로 증권업계의 자금 수요를 충족시킬 수는 없었지만,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증권시장 자금 공급창구로서 최초로 증권금융 기능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7월에는 한국저축은행으로부터 1500만 원을 차입해 제2차 융자를 실시했고, 1957년 2월부터는 유가증권 대여업무도 시작했다.

▲ 1962년 증권거래법 제정으로 법제화 완성

1962년 1월 15일 건국 이후 최초로 증권거래법이 제정·공포되면서 한국증권금융은 비로소 완전한 법적 기반을 갖추게 됐다. 7월 5일 상호를 '한국증권금융(주)'으로 변경하고, 자본금을 3000만 원에서 5억 원으로 대폭 증액했다.

70년 전 폐허 위에서 시작된 한국 자본시장의 발걸음. 그 중심에서 증권금융 인프라의 초석을 놓은 한국증권금융의 창립 과정은 우리나라 자본시장 발전사의 소중한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