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연준 금리 인하, 소비자 체감 효과는 ‘제한적’…신용·환율 중심 파급 관측

글로벌이코노믹

美 연준 금리 인하, 소비자 체감 효과는 ‘제한적’…신용·환율 중심 파급 관측



미국 워싱턴DC의 연방준비제도 청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워싱턴DC의 연방준비제도 청사. 사진=로이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올해 첫 금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서민 가계가 당장 느낄 변화는 크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모기지나 자동차 대출보다 신용카드 금리, 환율, 소비 심리에서 점진적인 파급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한다.
미 연준은 17일(이하 현지시각)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려 4.00~4.25%로 조정했다. 연준은 이번 조치를 고용 둔화 위험에 대응한 위험 관리 차원의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당장 달라지는 건 신용 비용

18일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단기 변동금리 성격이 강한 신용카드 대출에는 인하 효과가 비교적 빠르게 반영될 수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매달 부담하는 이자가 소폭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인하 폭이 0.25%포인트에 불과해 체감 효과는 제한적이다. 반대로 모기지와 자동차 대출은 장기 금리에 더 민감해 단기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환율과 수입물가 파급

달러화 가치는 금리 인하 직후 약세로 움직였다.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달러 약세는 수입물가 안정으로 이어져 한국 같은 수입 의존도가 높은 경제에는 긍정적일 수 있다. 다만 수출 기업에는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다.

◇소비 심리 ‘심리적 완화’

금리 인하는 소비자들에게 “차입 비용이 낮아지고 있다”는 신호를 준다. 실제 대출 이자 부담은 크게 줄지 않더라도 소비 심리에는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기업 차입 비용도 줄면서 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유지하려는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추가 인하 전망 놓고 갈린 시각

연준 위원 다수는 추가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지만 일부는 물가 안정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스티븐 미란 위원은 이번 인하 폭이 부족하다며 0.50%포인트 인하를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즉각적인 대출금리 인하’보다는 소비 심리 개선, 환율 안정, 신용 비용 완화라는 간접 효과로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한다. 이는 가계가 당장 숨통을 트기에는 부족하지만 경기 둔화 압력을 완화하는 완충 장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