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100% 부과 가능성…VEU 불확실성까지 겹쳐 전략 혼란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9월 초 기자회견에서 미국 내에서 생산하지 않는 기업이 공급하는 반도체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최대 100% 수준까지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자동차에 적용되는 25% 관세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 거론됐다. 구체적인 시행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발언 자체만으로도 시장의 긴장을 키우기에 충분했다.
한국 반도체 업계는 애초 미국과의 협의 과정에서 일정한 무관세나 감면 혜택을 기대했지만, 상황은 정반대로 전개되는 모양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운영하는 중국 생산거점은 최근 미국 상무부의 VEU 제도 재검토 대상에 포함됐다. VEU는 특정 해외 공장에 대해 수출 규제를 완화해주는 제도인데, 이를 연간 승인제로 전환하거나 자격을 축소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졌다.
VEU 제도가 변경되면 현지 공장에 장비나 부품을 들여오는 절차가 크게 까다로워질 수 있다. 이는 생산 지연과 비용 증가로 이어져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관리에 부담을 가중시킨다. 관세 인상 가능성까지 겹치면서 기업들은 사업계획 수립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
문제는 불확실성이 쉽게 해소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관세율과 적용 품목, 시행 시점이 모두 정해지지 않았고, 트럼프 행정부 특유의 변동성이 시장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업계는 미국 내 생산 확대, 대체 거점 확보, 고객사와의 계약 재조정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지만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는 쉽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정책 집행 여부와 관계없이 이미 업계 전반에 불확실성을 확대했다.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관세 인상 가능성과 VEU 제도 불안이라는 이중 부담 속에서 전략을 다시 짜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향후 미국 행정부가 실제 조치를 단행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충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