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빛원전 공극 발견' 격납고 전수조사로 원전가동률 다시 낮아지나

공유
2

'한빛원전 공극 발견' 격납고 전수조사로 원전가동률 다시 낮아지나

원안위, 전국 25기 원전 구조물 특별점검 내년 말까지 연장시행
원전 가동 중단 불가피...대형 공극 발견땐 수개월 정지해야
가동률 떨어지면 한수원·한전 실적 더 나빠질듯..."20년간 방치" 비판도

전남 영광군 한빛원자력발전소 전경. 사진=한국수력원자력이미지 확대보기
전남 영광군 한빛원자력발전소 전경.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전남 영광 한빛원전 4호기 격납건물의 157㎝ 크기 공극(구멍) 발견을 계기로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국내 25기 원전 격납건물에 전수조사를 벌이기로 하자 원전 가동률이 다시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원전 가동률 저하될 경우 지난해처럼 비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량이 늘어나고 한국전력(한전)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실적이 더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31일 원안위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 26일 원안위는 국내 가동중인 모든 원전의 격납건물을 대상으로 30인치(약 76㎝) 이상 대형 관통부의 하부를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당초 올해 말까지로 예정됐던 원전 구조물 특별점검을 1년 연장해 내년 말까지 시행하겠다고 원안위는 밝혔다.

원안위는 지난 2017년 6월 한빛원전 4호기에서 처음 공극을 발견한 이후 국내 가동 중인 원전 25기에 특별점검을 벌인 결과 한빛 3·4호기에서만 200개 등 총 240개의 공극을 발견했다.

이 가운데 한빛 4호기에서 발견된 공극은 가로 331㎝, 세로 38~97㎝, 깊이 4.5~157㎝의 원뿔 모양으로, 콘크리트방벽 두께가 168㎝인 점을 감안하면 10㎝ 두께의 콘크리트벽만 남고 내부가 비어있었던 셈이다.

격납건물은 사고 발생시 방사성 물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최후방벽으로서 콘크리트벽과 강철판의 다중방호벽으로 돼 있다.

문제는 격납건물의 관통부 하부를 조사하려면 부득이 원전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는 점이다. 격납건물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는 뜨거운 증기가 지나는 통로라 주변의 열기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큰 공극이 발견돼도 문제다. 157㎝ 공극이 발견된 한빛 4호기 격납건물은 8월 시행 예정인 건전성 평가 결과가 '불만족'으로 나올 경우 간편한 '그라우트(충전재) 주입' 대신 '콘크리트 타설'을 해야 한다. 이 경우 한빛 4호기를 약 7개월 간 가동할 수 없게 된다.

업계에서는 위에서 붓는 콘크리트 타설 방식상 다른 원전 격납건물도 대형 관통부 바로 밑부분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원전 가동률은 한수원과 한전의 실적과 직결된다. 업계에 따르면 원전 가동률이 1~2%만 떨어져도 한수원의 연간 수익이 1300억 원 가량 감소한다.

한수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원전 가동률은 79.3%로 지난해 같은기간 58.8%에 비해 20.5%포인트나 높아졌다.

그러나 격납건물 전수조사를 벌이고 특별점검을 내년까지 연장하면 정부의 탈원전 선언 이전 원전 가동률인 85% 안팎에 이르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한수원의 부실 관리도 지적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 한빛원전 건설 때부터 공사에 참여했던 지역주민들을 중심으로 부실시공 제보가 끊임없이 제기됐음에도 한수원은 이를 묵살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당시 제보를 한 일부 주민들은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는 등 피해를 입었지만, 20여 년이 지난 지금 그 주민들의 말이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한수원의 경영진이 20여 년 전 발생한 한빛 4호기 공극 문제에 직접적인 책임이 없을 뿐 아니라 최근 높아지고 있는 탈원전 반대 여론도 누그러뜨릴 수 있기 때문에 '공극 사태'에 다소 수수방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다른 관계자는 이 기회에 철저한 점검과 보강 조치를 취해 안전 불감증과 원전 불안감을 개선하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