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CU, "편의점 심야 취식 금지, 즉석조리식품 매출 이끌어”

글로벌이코노믹

CU, "편의점 심야 취식 금지, 즉석조리식품 매출 이끌어”

최근 일주일 심야 시간대 즉석조리식품,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7.2% 증가
거리 두기 강화·포장 구매·24시간 배달서비스 등이 매출 상승에 영향 미쳐
CU가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 시행 이후 야간에 즉석조리식품이 잘 팔린다고 밝혔다. 사진=CU이미지 확대보기
CU가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 시행 이후 야간에 즉석조리식품이 잘 팔린다고 밝혔다. 사진=CU
CU는 ‘수도권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 캠페인 시행으로 즉석조리식품의 매출이 오르고 있다고 7일 밝혔다.

CU가 8월 30일~9월 5일 심야 시간대(오후 10시~익일 새벽 2시) 주요 상품 매출을 분석한 결과, 조각치킨을 비롯한 즉석조리식품의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7.2% 오르며 전체 상품 중 가장 높은 신장률을 나타냈다. 편의점 심야 취식이 금지된 이후 포장 구매가 늘면서 즉석조리식품의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기간 간편식, 과자류, 주류 등 품목도 인기를 누린 것으로 집계됐다.

각 상품군의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 상승률은 ▲조리면(파스타, 콩국수, 볶음면 등) 36.9% ▲냉장 간편식(피자, 떡볶이, 수제비 등) 29.6% ▲죽∙스프류 28.2% ▲냉동만두 26.9% ▲팝콘 24.9% ▲쿠키류 19.1% ▲일반 스낵 16.6% ▲젤리류 10.9%로 나타났다. 주류의 경우 양주 22.2%, 소주 14.9%, 와인 14.2%, 맥주 9.5% 순으로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으며, 냉장 안주(29.0%)‧육가공류(21.7%)‧마른안주류(19.7%) 등 안주 상품 매출도 동반 상승했다.
CU의 한 관계자는 실제로 즉석조리식품과 간편식, 주류는 평소에도 점포 안에서 먹기보다 포장 구매를 하려는 고객들이 많고 최근에는 24시간 배달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어 심야 시간대에 잘 팔린다고 설명했다.

반면 다른 상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내 취식의 비중이 높았던 컵라면은 매출이 11.7% 감소했다. 음주 후 주로 마시는 숙취해소음료도 37.7% 매출이 떨어졌으며 아이스크림 매출도 21.4%의 하락 폭을 보였다.

정승욱 BGF리테일 MD기획팀장은 “강화된 방역 수칙에 따라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편의점 고객들의 구매 양식이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손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jizza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