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에 이어 틱톡·위챗 등 중국기업에 대한 트럼프의 제재에 반발하지만 파국 원치 않아

미국 경제전문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2일(현지시간) 기사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미국 기술기업에 대한 보복을 위해 블랙리스트 목록 작성을 서두르고 있지만, 이행까지는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대미 보복’에 대해 당장 이행을 주장하는 강경론과 미국 대선 이후까지 시간을 벌어야 한다는 온건론이 혼재해 있다는 분석이다.
이같이 의견 통일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11월 3일 미국 대선까지 1개월 남짓 남은 데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처럼 강경책을 꺼내들었을 경우 향후 중국 기업에 미치는 손해가 클 것이라는 우려가 있어서다.
통상갈등을 겪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일단 서로를 향해 강경모드를 가동하고 있는데, 두 업체를 희생양으로 삼는 대리전이 펼쳐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15일부터 시작된 중국 통신업체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제재에 맞서 중국이 ‘시스코 제재’라는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었다.
WSJ에 따르면 시스코는 오랜 기간 중국 통신업체를 상대로 납품을 해왔지만, 여러 계약 이행이 중지된 상태다.
시스코는 “중국과 관계가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밝혔지만, 현재는 메아리 없는 울림에 불과한 상황에 처해 있다.
중국의 블랙리스트 작성은 예측 불가능한 게 아니었다. 그동안 미중 갈등 속에 중국의 보복 카드를 준비해 왔지만, 지난 2019년 말 무역협상 성사로 중국은 ‘일단 멈춤 모드’를 가동했다.
하지만 최근 바이트댄스의 틱톡과 위챗 등 중국업체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압박이 가중되면서 중국이 보복 칼날을 꺼내든 모습이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은 후춘화(胡春華) 부총리의 주도로 미국 블랙리스트인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을 최종 검토하고 있다.
발표 시점은 오는 11월 3일 미국 대선 일정을 감안해 정무적 판단을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유명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y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