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쿠웨이트 FDI, 중소기업 직접투자진출 전략

공유
0

쿠웨이트 FDI, 중소기업 직접투자진출 전략

- 쿠웨이트 2019년 3월까지 32억달러 직접투자 유치 -

- 정부 프로젝트 참가하는 중소기업도 KDIPA 라이선스 취득 기회 고려할 것 -





쿠웨이트는 2019년 인구 약 440만 명, 규모는 1만8000km²에 불과한 규모가 작은 나라이지만 2019년 GDP는 약 308.67억 달러를 기록했다. (STATISTA 자료) 풍부한 석유 덕분에 국민들의 GDP 수준도 세계 상위권에 속한다. 하지만 국제유가가 불안정하고 폭락하게 되는 상황이 거듭 발생되면서 국가의 경제가 그에 따른 영향을 받으며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쿠웨이트 정부는 안정적인 국가 경제를 유지하고자 현재 석유 부문에 대한 의존율이 큰 경제구조에서 석유 부문 의존를 줄이고 비 석유 분야 경제 개발 및 성장을 목표로 하는 등 국가경제다변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쿠웨이트는 산유국으로 풍부한 자본을 갖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기업운영 노하우나 제조기술 등 기업을 운영하기 위해 실제 필요한 부문에는 매우 취약하다. 이와 같은 쿠웨이트의 문제점을 정부도 인식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2013년 ‘외국인직접투자진흥기관 (KDIPA)’ 을 설립하여 능력있고 유망한 해외 기업들의 쿠웨이트 직접 진출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그들의 노하우를 전수 받을 수 있도록 하는 KDIPA 라이선스 제도를 운영 중이다.

KDIPA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KDIPA

쿠웨이트 외국인 직접투자진흥기관

KDIPA (Kuwait Direct Investment Promotion Authority)

개요: 쿠웨이트 직접투자 촉진 기관으로 2013년 법률 No. 116에 의해 설립
기능: 쿠웨이트의 행정 경제기관 중 하나로 FDI 관련 개발, 홍보, 규제의 역할을 수행함.
서비스
- 투자 허가 신청 접수 및 발급 절차 처리, 투자자에게 설명 및 정보를 제공
- 투자자에게 부여된 인센티브, 보증 내용 제공- 관련 기관들과 협력해 쿠웨이트 내 경제구역을 설립, 쿠웨이트 비즈니스를
위한 모든 절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One Stop Shop을 운영하며, 모든 관련 기관과 협력 및 조정 등
자료: KDIPA

쿠웨이트 해외기업 진출 형태 (쿠웨이트에 주로 진행하는 케이스이며 모든 형태는 아님)

쿠웨이트 진출사업 형태

자료: 쿠웨이트 무역관 자체 편집

1. 유한회사(Limited Liability Company, WLL): 쿠웨이트에 진출한 외국기업과 현지 기업이 합작투자를 통해 설립한 법인이며, 자본금의 51% 이상을 쿠웨이트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해야 하고, 외국법인은 최대 49%까지 소유할 수 있음.
* 단 지분 소유와는 별개로 해당 법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손익은 외국법인이 75%까지 가져올 수 있음.
2. KDIPA라이선스 (외국계 단독 법인): 쿠웨이트 외국인투자진흥청(KDIPA)으로부터 외투기업 승인을 받은 기업으로, 100% 지분을 소유할 수 있으며, 외투기업 승인 후 최대 10년간 법인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3. 현지기업과 에이전시 체결(Agency): 쿠웨이트 현지 기업이 외국계 법인의 법적 대리인(Agent) 역할을 하는 형태로 Commercial Agency, Distributors Agency, Service Agency로 구분됨. 외국법인은 쿠웨이트 개인 또는 법인과의 Agency 계약을 통해 사업을 수행할 수 있음.
4. 합작투자(Joint Venture: JV): 한 개 이상의 법인체가 결합해 연대 보증의 의무를 가지는 합작투자 형태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음.

사업 형태별 세금납부 의무
구분
법적 실체
사업 등록
회계감사 의무
세무신고
KDIPA
O
O
O
O
유한회사
O
O
O
O
에이전시
X
O
O
O
합작투자
X
X
O
O
자료: EY, PWC 자문, 쿠웨이트무역관 편집

일반 기업과 KDIPA 라이선스기업 비교
일반법인

KDIPA 라이선스 기업
주식회사
유한회사
- 5인 이상의 발기인
- 최소 자본금 25,000kd
- 회사 설립 소요기간 6개월
- 2인 이상의 발기인
- 최소 자본금 1,000kd
- 회사 설립 소요기간 3-4개월
- 100% 지분 율
- 10년간 세금면제 및 수입관세 면제 혜택
- 수익금을 해외로 양도할 권리보장
- 시행 중인 모든 국제협약 및 이중과세방지
- KDIPA의 규칙에 따라 관리감독 대상이 되는 토지 및 부동산 사용
- 외국인고용에 대한 혜택
- 지분구조: Kuwaiti: 51% 이상 외국(법)인: 49% 이하
- 손익은 외국법인이 75%까지 가져올 수 있음.
- 보유한 지분에 대해 영업이익의 15% 법인세 납세 의무
- 1년에 1회 IFRS 재무제표제출
자료: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쿠웨이트 진출 KDIPA 라이선스의 혜택을 공략하자


쿠웨이트에 진출하는 해외 기업은 쿠웨이트 또는 GCC 시민이 51% 이상 소유해야 한다. 하지만 KDIPA의 라이선스를 받아 직접 진출한 기업들은 100%의 지분율을 갖을 수 있다. 그 외에도 법인세 (15%) 10년간 면제 및 수입 관세 면제 등 비즈니스에 유리한 다양한 인센티브들을 갖게 된다. 자국민을 보호하고 자국민의 이익을 우선하는 쿠웨이트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KDIPA 라이선스를 취득한 기업들의 인센티브들은 매우 큰 혜택임에 틀림없다.

KDIPA 라이선스 기업 선정 검토 항목


KDIPA는 외국인 투자자의 신청을 검토하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려한다.
* 쿠웨이트 시민에 대한 일자리 창출과 연수 및 교육 기회 제공
* 쿠웨이트에 기술이전
* 국민 소득원 다양화
* 수출증대 및 쿠웨이트 내 중소기업 지원, 쿠웨이트 상품 활성화


KDIPA, 쿠웨이트 정부프로젝트사업 참가기업 환영

KDIPA는 쿠웨이트 정부기관으로 쿠웨이트 정부에서 주관하는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한다.
현재 쿠웨이트에서 진행 예정인 정부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중소 규모의 해외 기업들이 정부 프로젝트를 참가하기 위해 쿠웨이트 시장에 진출한다는 것을 어필한다면 KDIPA라이선스 취득에 있어서 좀 더 유리하게 작용 할 수 있을 것이며 중소 규모의 국내 기업들도 쿠웨이트 시장에 직접 진출 할 수 있는 기회를 노려볼 만하다.

외국인직접투자 (FDI) 수치



쿠웨이트는 2015년 1월부터 2019년 3월 말까지 32억 달러 안팎의 직접 투자를 유치했다.
쿠웨이트 직접투자진흥청(KDIPA)은 2019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의 회계연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의 투자는 거의 1억5600만 달러 (514만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보기술 (it), 석유 가스, 건설, 교육, 보건, 에너지, 컨설팅서비스,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시장조사 분야에 집중됐으며 선진국과 신흥국 16개 외국과 아랍 국가를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 37개사에서 나왔다. KDIPA 사무총장 Mr. Meshaal Jaber Al Ahmad Al Sabah 박사는 "이 투자가 쿠웨이트 국민들을 위한 직, 간접적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행정적, 기술적 부문을 장려하기 때문에 기대되는 경제적 영향은 광범위하다"라고 말했다.

부문별 FDI(승인 누적 투자 부문 분포) – 2015~2018년
(단위: 백만 달러)

번호
부문
금액
비중
1
정보기술
1,290
41%
2
오일/가스
794
25%
3
건설
495
16%
4
기술교육
191
6%
5
보건
170
5%
6
에너지
110
3.5%
7
컨설팅 서비스
68
3%
8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14
0.4%
9
시장조사
5
0.2%

전체
3,137
100%
자료: KDIPA Annual Report 2018/2019

국가 별 FDI (승인 누적 투자 부문 분포) – 2015~2018년
(단위: 백만 달러)
번호
부문
금액
비중
1
네덜란드
1,354
43%
2
캐나다
335
11%
3
스페인
298
10%
4
중국
291
9.2%
5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263
8%
6
터키
198
6%
7
프랑스
120
4%
8
미국
74
2.3%
9
한국
60
2%
10
일본
36
1.1%
11
벨기에
35
1%
12
이태리
27
0.8%
13
독일
16
0.5%
14
레바논
14
0.4%
15
인도
14
0.4%
16
영국
2
0.06%
17
전체
3,137
100%
자료: KDIPA Annual Report 2018/2019

2021 진행 예정인 쿠웨이트 정부 프로젝트
PAHW / LH JV - South Saad Abdullah Residential City
프로젝트 명
스마트 시티 (South Saad Abdullah Residential City)
낙찰 공고
2021년 7월
발주 처
PAHW / LH (한국토지공사)
완공 예정
2030년 12월
장소
Al-Jahra, Governorate, Kuwait
예산
40억 달러
분야
건설
비고
PAHW-LH 한-쿠 공동 발주처역할수행 예정
자료: MEED
쿠웨이트시티로부터 약 30km 떨어진 South Saad Al-abdullah 지역의 총 64.4㎢ 면적에 첨단 스마트 신도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2016년 한국 쿠웨이트 양국 정부 간 신도시 개발협력 MOU가 체결돼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쿠웨이트 주거복지청 (PAHW) 간 마스터플랜 및 설계 계약을 통해 한국형 스마트시티 개발을 진행 예정이다.

MEW - Al Zour North IWPP: Phase 2 & 3: Water Desalination Plant
프로젝트 명
Al Zour North IWPP: Phase 2 & 3: Water Desalination Plant
낙찰 공고
2021년 9월
발주 처
MEW
완공 예정
2024년 12월
장소
Al-Zour, Al-Ahmadi Governorate, Kuwait
예산
9억 4천 1백 달러
분야
담수화, 플랜트
비고

자료: MEED
쿠웨이트 수전력부 (MEW) 자회사인 KAPP (Kuwait Authority for Partnership Projects)가 쿠웨이트 Al Zour지역에 진행 예정인 담수화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Al Zour North에서 계획된 두 번째 전력 및 담수화 플랜트가 될 예정이다.

KAPP / PART - Kuwait City Metropolitan Rapid Transit (MRT)
프로젝트 명
- Kuwait City Metropolitan Rapid Transit (MRT)
낙찰 공고
2021년 7월
발주 처
KAPP KAPP (Kuwait Authority for Partnership Projects) / PART ( Kuwait Public Authority for Roads and Transportation)
완공 예정
2030년 12월
장소
Kuwait City,Al Asimah Governorate,Kuwait
예산
180억 달러
분야
철도, 교통, 인프라
비고

자료: MEED
KAPP는 쿠웨이트에 수도권 고속 교통 시스템 건설을 착수하여 쿠웨이트에 지상70%, 지하30%의 메트로시스템을 개발 할 계획이다.

결론 시사점

쿠웨이트 투자진출 기업은 쿠웨이트의 비즈니스 환경을 숙지해야한다. 한국과는 다르게 자국민을 강하게 보호하고 지원하는 쿠웨이트에서 해외 기업은 비즈니스하기에 불리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해외기업이 쿠웨이트에 법인을 설립할 때 쿠웨이트 스폰서가 반드시 필요한 것도 그의 한 예이다. 법인을 설립한다 해도 해외기업의 지분율은 최대 49%까지이며 쿠웨이트 스폰서나 에이전시의 지분율이 51%로 서로 간에 분쟁이 발생할 경우 해외기업 에게 불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비즈니스 환경에 대해 숙지하고 경영할 때 애로가 없도록 사전에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앞서 언급했던 대로 해외기업이 KDIPA의 라이선스를 취득하면 쿠웨이트에서 100%의 지분율을 갖고 단독 법인을 운영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비즈니스에 많은 혜택이 주어진다. 국내 중소 규모의 기업이 단독으로 KDIPA 라이선스를 취득하는 것에 부담이 된다면 쿠웨이트 정부에서 운영하는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그 경험을 레퍼런스로 활용하여 KDIPA에 라이선스 신청을 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KDIPA는 쿠웨이트 정부기관으로 국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이 기관의 목표이기도 하다. 따라서 쿠웨이트 정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참가할 예정인 국내 중소기업들도 정부 프로젝트의 경험을 어필하여 KDIPA 라이선스에 도전 해보길 권하며 국내 중소기업들이 쿠웨이트 시장에 직접 진출 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넓게 열리길 바란다.

자료: MEED, KDIPA, EY, PWC자문, STATISTA, 쿠웨이트 무역관 자체자료, KDIPA (썸네일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