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40만명 찾는 대표 QSR 브랜드…신뢰하는 '친구' 같은 브랜드 다짐
매장수 늘리고 진정성 더한 ESG 강화…스킨십·신뢰 강화 위한 행보
매장수 늘리고 진정성 더한 ESG 강화…스킨십·신뢰 강화 위한 행보

5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창립 35주년 한국맥도날드 기자간담회에서 김기원 한국맥도날드 대표는 “신뢰하는 친구 같은 브랜드로 만들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맥도날드의 지난 35년이 그랬듯, 앞으로 35년도 친구 같은 브랜드가 되겠다는 취지의 말이다.
맥도날드는 1988년 한국에 진출한 이래, 현재 매일 약 40만명이 찾는 대표 QSR 브랜드로 성장하기까지 국내 사회와 함께 성장하며 우리 곁을 지켜왔다. 그렇게 쌓인 추억과 데이터는 맥도날드 핵심 키워드로 정리된 두 권의 사사로도 출간돼 35주년의 의미를 더했다. 이 책에는 고객들이 맥도날드와 함께한 소중한 추억과 맥도날드가 한국시장에 처음 내놓은 서비스들에 얽힌 이야기를 풀었다.
맥도날드는 앞으로도 좋은 추억과 경험을 선사하는 ‘친구’가 되고자 하는 바람을 전했다. 김 대표는 “진정한 친구는 정말 아무 때나 편안하게 만날 수 있는 친구다”라며 “고객들에게 언제나 편안하고 신뢰할 수 있는 친구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 3대 버거로 불리는 프리미엄 버거들까지 진입하며, 버거 시장은 어느 때보다 뜨거운 경쟁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지만, 김 대표 ‘편안하고, 가까운 친구’로서의 역할을 자처하며 장수 브랜드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도 보여줬다.
김 대표는 “새로운 브랜드 진입은 한국 버거 시장 성장 가능성을 크게 보는 것이라 생각한다”며 “맥도날드는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성장할 예정이고 하반기에는 ‘한국의 맛’ 캠페인에 집중해 나가면서 어떻게 ESG 진취적 방안들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고객 접점 강화한다
고객에게 더 가까이 가고자 맥도날드는 향후 2030년까지 매장을 총 500개로 확장할 계획이다. 현재 기준 맥도날드 매장수는 400여개다. 구체적으로, 연내 총 8개의 드라이브스루(DT)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며 12개 매장에 대한 리뉴얼도 추진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지난해 신규 매장 2곳을 오픈했으며 올 상반기에에는 신규 매장 3곳을 오픈했다”며 “앞으로도 신규 매장 확장에 속도를 내려고 한다”고 전했다.
또 어디서든 고객이 편안하게 맥도날드의 혜택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식 앱을 통합하는 등 앱 개편을 예고했다.
맥도날드 관계자는 “맥도날드 딜리버리 앱과 공식 앱 등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하나로 일원화할 예정”이라며 “조만간 선보일 수 있을 예정으로 모든 고객의 접점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역농가와 세상에 좋은 이웃…진정성 더한 ESG 확대

고객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친구’로의 접점을 강화한다면, 우리 사회와 주변 이웃에는 따뜻한 울타리로서의 다가간다는 방침이다.. 한국맥도날드의 장수비결이자 지속 성장 요인의 한 축이 ‘가치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를 잡았다는 분석에서 맥도날드는 ESG 경영 보폭을 더 늘려가기로 했다.
실제로 지역 상생을 위해 펼치고 있는 ‘한국의 맛(Taste of Korea) 프로젝트’로 선보인 메뉴들은 지역 농가와 고객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올해로 3년차를 맞은 한국의 맛 프로젝트로 선보인 로컬 소싱 메뉴 누적 판매량은 무려 1000만개를 돌파했다. 대표적인 한국의 맛 메뉴는 창녕갈릭버거, 보성녹돈버거, 나주 배 칠러, 허니버터 인절미 후라이 등이다.
이에 따라 맥도날드는 농가 상생 펀드를 조성해 농가 지원을 확대한다. 또 진도 대파를 활용한국의 맛 신메뉴 ‘진도 대파 크림 크로켓 버거’를 출시해 진도의 특산물을 알릴 예정이다. 맥도날드 관계자는 “한국의 맛 프로젝트로 나가는 메뉴 외에도 맥도날드 버거에 사용하는 양상추, 계란, 닭고기 등 주요 재료들은 국내산 식재료로 사용하는데 수급양만 연간 총 1만7000톤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맥도날드는 장기 입원해야 하는 환아 가족의 쉼터인 RMHC(Ronald McDonald House Charities)의 후원사로 활동하며 이들이 건강한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중이다. 경남 양산에 있는 1호 RMHC에 이어 수도권에도 RMHC가 지어질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2025년까지 맥도날드에서 사용하는 포장재 100%를 재활용‧재사용이 가능한 소재로 전환하고, 100% 동물복지란으로의 전환을 도입 준비 중이다.
김 대표는 “많은 기업들이 최근 ESG에 대해 많이들 언급하지만,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진정성 있는 ESG를 펼치고 싶다”며 “그럴 때 신롸와 사랑을 보내주신다는 것을 알기에 다양한 영역에 대한 ESG 플랜을 갖고 있고 실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sy12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