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물가 상승률 2.7%로 반등…"물가에 트럼프표 관세 반영 신호"

글로벌이코노믹

美 물가 상승률 2.7%로 반등…"물가에 트럼프표 관세 반영 신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추이. 사진=미 노동통계국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추이. 사진=미 노동통계국


지난달 기준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하며 전달보다 상승 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구, 의류, 장난감 등 관세 영향을 받기 쉬운 품목들의 가격이 오르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15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은 6월 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7% 올랐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는 지난 5월의 2.4% 상승보다 높아진 수준으로 WSJ이 집계한 경제학자들의 전망치와 일치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2.9%를 기록했다.

◇관세 민감 품목 중심으로 가격 상승…자동차는 예외

이번 물가 상승은 가구와 장난감, 의류 등 관세 부과에 민감한 소비재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신차 가격은 예상을 깨고 하락했다. 전월 대비 전체 물가 상승률은 0.3%로 올해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근원물가는 전달보다 0.23% 상승했다.

웰스파고의 사라 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물가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했다”며 “다만 아직은 일부 품목에 국한돼 있어 최악의 시나리오는 아니다”고 분석했다.

◇연준 내부의 정책 판단 혼선 이어져

WSJ에 따르면 이같은 물가 지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향후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미 연방준비제도 내부의 논쟁을 잠재우기에는 부족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인플레이션 확대를 우려하는 쪽은 “소매업체들이 관세 부담을 본격적으로 가격에 전가하기 시작했다”며 이번 수치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반면, 가격 상승이 일부 품목에 한정되고 서비스 물가로는 확산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우려는 과도하다”는 의견도 여전히 존재한다.

최근 들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태도를 보이는 것도 이같은 불확실성 때문이다. 지난봄까지만 해도 관세 인상으로 인해 물가는 오르고 경제성장은 둔화될 수 있다는 복합적 상황이 통화정책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소비자 부담 커질 가능성…기업들 가격 인상 예고

미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는 지난 5월 “관세가 지속되면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 밝혔고 글로벌 패션기업 랄프 로렌도 가격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 소비자들이 관세의 직접적인 비용 가운데 약 70%를 부담하게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스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 12일 “계속해서 관세 변수들이 추가되고 있어 인플레이션 경로를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황은 마치 흙먼지를 다시 공중에 뿌리는 것과 같다”고 표현했다.

한편, 6월 기준 미국의 신규 고용은 14만7000명으로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으나 상당수가 지방정부 등 공공부문에 집중됐고 민간 기업의 고용 증가폭은 8개월래 가장 낮았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