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난항을 겪고 있는 일본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 “우리는 일본의 정치 상황보다 미국 국민에게 최선의 거래를 얻는 데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21일(현지시각) CNBC 인터뷰에서 “관세 협상을 마무리하기 위해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며 이와 같이 말했다.
8월 1일로 정해진 시한이 연장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할 것이라고 전제한 뒤 “대통령이 무엇을 원하는지 지켜봐야 한다. 8월 1일에 (설정된 관세로) 돌아가게 되면, (협상 상대국·지역에) 더 나은 협정안을 제안하도록 추가 압력이 가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중국이 실시해야 할 리밸런싱(재균형화)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국가에 '2차 관세'를 부과할 경우 유럽도 동참하도록 촉구할 방침이라고도 설명했다.
백악관 케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22일 필리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회담하며 무역에 대해 논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 미국 행정부는 세계 각국과의 협력을 계속하고 있으며, 8월 1일까지 추가 무역 합의 발표 또는 관세율 통지 서한을 추가로 발송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언급했다.
한편, EU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수용 가능한 합의 가능성이 희박해지는 가운데 미국에 대한 더 광범위한 대응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EU 외교 소식통이 밝혔다.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서비스업을 표적으로 삼거나 공공 입찰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는 ‘반압력’ 조치의 발동을 검토하는 움직임이 독일 등 회원국들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독일 프레드리히 메르츠 총리는 기자 회견에서 “관세 수준을 둘러싼 협상은 현재 매우 치열한 상황”이라며 “미국 측이 대칭적인 관세 협정에 동의할 의사가 없다는 것은 매우 분명하다”라고 EU의 반발 상황을 전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