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올라 시장 예상치보다는 다소 낮았고 전달과 비교하면 같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의 다음달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포브스 등이 12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 예상치 밑돈 CPI, 5개월 만에 근원지수 최고
미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이 이날 발표한 집계 자료에 따르면 7월 기준 CPI는 전월 대비 0.2% 상승해 글로벌 금융정보 분석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와 일치했다. 연 2%의 물가 목표는 웃돌지만 3%를 넘지 않는 흐름을 이어갔다는 분석이다.
◇ 품목별 가격 변화와 물가 제약 요인
식품 가격은 전월 대비 0.2%, 전년 대비 2.9% 상승했다. 커피(2.6%·전년 대비 14.8%), 다진 소고기(2.4%·11.5%), 햄(3.7%), 토마토(3.3%), 유아·아동 의류(3.3%) 등의 상승폭이 컸고 항공료는 전월 대비 4.0% 올랐다.
반면 달걀은 전월 대비 3.4% 하락했지만 전년보다 16.4% 비쌌다. 식품 전체 가격은 전월 대비 보합에 머물렀고 에너지 가격은 1.1% 하락해 전체 CPI 상승률을 억제했다. 휘발유 가격은 전년 대비 9.5% 내렸다.
◇ 관세 영향 제한적, 시장 금리인하 기대 확대
이달 7일부터 60여개국과 유럽연합(EU)산 제품에 대한 보복관세가 발효됐으나 일부 수입품 가격 상승을 제외하면 저유가 효과로 CPI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채권·금리선물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가 커졌다.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동부시간 오전 9시께 4.27%로 보합이었고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3.783%로 전장 대비 2bp(0.02%포인트) 하락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25%포인트 인하 확률을 94%로 반영해 전날보다 8%포인트 높였다.
포브스는 “주거비 상승률 둔화와 냉각되는 노동시장 흐름 속에서 연준은 금리 인하 외에 선택지가 없다”며 연준이 9월, 10월, 12월 세 차례 연속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점쳤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뉴욕증시] 혼조세 속 나스닥 지수만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506411400710c35228d2f5175193150103.jpg)














